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뉴스
"
100
"(으)로 총 10,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굳는 간경화나 간암 등 합병증을 초래한다. 우수한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며 완치율이
100
%에 근접해졌지만 치료 후에도 환자의 면역 체계가 완전히 정상화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연구팀은 만성 C형 간염 치료 후 면역계의 변화를 규명하기 위해 조절 T세포에 주목했다. 조절 T세포는 면역 ... ...
7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사용철·김태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내산화성도 약 11.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대표이사는 “산학연의 협력으로 Ø
100
급 흑연전극봉 개발이 성공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흑연전극봉의 대형화를 통해 세계 시장에도 진출하겠다”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새 중력파 찾으러 중성자별·우주배경복사 이용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물결이 파동처럼 그려지는 모습과 유사하다. 1915년 아인슈타인이 중력파를 예측한지
100
여 년이 지나서야 중력파가 처음 검출됐다. 중력파 검출이 어려웠던 이유는 지구에서 느끼는 중력파 파동의 세기가 매우 약하기 때문이다. 라이고(LIGO) 과학협력단을 중심으로 한 공동연구팀은 레이저 빛을 ... ...
[사이언스게시판] 극지연, 서울일러스트레이션페어 참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머스크가 후원하는 '엑스프라이즈(XPRIZE Foundation)' 재단에서 발표한 '세계를 변화시키는
100
대 기술'로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안지환 책임연구원은 "DAC 기술이 상용화되면 한국이 기후위기 대응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애플리케이션 '내 손안에 ... ...
식욕·감정도 억제…세계 최초 자기장으로 뇌 회로 자유자재 조절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3일 공개됐다. 인간의 뇌는 약
100
0억 개 이상의 뇌 신경세포(뉴런)와 수많은 뇌 회로로 이뤄졌다. 특정 뇌 회로를 제어하는 기술은 뇌 기능과 각종 뇌 질환의 원리를 규명하는 데 필수적이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처럼 생각만으로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⑧ "육아는 사회 전체가 부담해야 하는 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어렵지 않게 되어있다. 1년 전체를 쉬면 조금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육아가 굉장히 힘든
100
일부터 6개월 사이에 쓰는 등 몇 달씩 쪼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좋다." Q. 처음에는 육아휴직까지 생각하지 않았다고 들었다. "처음에는 회사가 야근이 많지도 않고 휴가 쓰는 것도 부담이 ... ...
'난자 냉동' 가능시기 정확히 예측할까…난모세포 긴 수명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계산한 결과 이 '장수 단백질'은 분자의 50%가 분해되는 반감기가
100
일 이상이었다.
100
일은 생쥐 수명의 약 13%에 해당하는 시간이다. 단백질 일부가 쥐 일생 대부분에 걸쳐 난소에 존재한다는 뜻이다. 슈흐 교수는 "포유류 난모세포의 수명을 고려하면 수명이 긴 단백질이 있다는 것은 매우 합리적 ... ...
유산 위험 측정기 제안한 법대생들… "유산율 낮춰 저출산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왼쪽부터) 이광형 KAIST 총장, 대상 수상자인 이다은, 박인아, 허한나 동국대 재학생. KAIST 제공.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면 출산율뿐 아니라 ‘유산율’에도 주 ... 알리는 시스템으로 우수상을 받았다. 대상은 500만 원, 최우수상은 300만 원, 우수상은 각
100
만 원의 상금과 총장상이 수여됐다 ... ...
다리 절단 美 MIT 과학자, '내 다리' 같은 로봇 다리 만들어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의식적인 노력 없이 보행이 가능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사람의 신경이
100
% 의족을 제어해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이어 “절단 수술을 받은 사람들은 자신의 팔이나 다리를 스스로 통제한다는 느낌을 받고 싶어 한다”며 ... ...
[사이언스게시판] 지질연, 바닷속 해저 지명 우리말로 전 세계에 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은 지난달 제주에서 37차 해저지명소위원회를 열고 약
100
건의 우리말 해저지명을 심의·의결했다고 1일 밝혔다. 결정된 해저지명은 해저지명집에 등재해 전 세계 해도와 지도에 널리 활용하도록 권고한다. 이평구 지질연 원장은 “우리말 해저지명의 등재가 활발해진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