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쌀
답곡
나록
밥
수도
d라이브러리
"
벼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이름에 ‘나무’가 있긴 해도 엄밀히 말해 ‘줄기가 나무처럼 바뀐 풀’이다.
벼
, 보리, 옥수수처럼 줄기에 마디가 있고 잎이 길쭉해 외떡잎식물에 속한다. 따라서 부피생장을 하는 종자식물을 나무라고 한다면 나이테가 없는 대나무는 풀에 해당한다. 하지만 땅 위에 나와 있는 줄기가 1년 이상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수학동아
l
201005
네 번째 잎이 나면서 뿌리를 내리지요. 마치
벼
가 숫자를 셀 수 있는 것처럼 정확해요.
벼
의 뿌리는 한 가닥의 굵기가 모두 비슷해요. 할아버지 수염처럼 생겼다고 해서 수염뿌리라고 부르기도 하지요. 하지만 쌍떡잎식물의 뿌리는 가운데 굵은 원뿌리가 있고 주위에 실 같은 곁뿌리가 나요.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04
권리”라는 철학으로 무상에 가까운 공급을 주장했다. 소노라에서 시작된 생산량 증대는
벼
를 비롯한 다른 작물에까지 적용되면서 인류 상당수를 먹을거리 고민에서 해방시켰다. 이것이 세계 식량 문제를 거론할 때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지목되는 ‘녹색혁명’이다. 볼로그 박사는 이 공로를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03
사실을 밝혀냈다. 함께 게재된 논문에서 일본 나라과학기술연구원 시마모토 고 박사팀은
벼
에서 FT에 해당하는 Hd3a의 단백질이 이동한다는 증거를 보고했다. 그 뒤 다른 학술지에도 여러 식물의 FT 해당 유전자의 단백질이 이동한다는 사실이 속속 보고됐다. 화성소의 실체가 마침내 밝혀진 셈이다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나타났고, 수확량은 빠르게 줄었어요. 병충해에 강하고 튼튼한 새 품종을 만들기 위해
벼
나 밀의 친척 종, 다른 품종을 찾아봤지만 이미 사라진 뒤였어요. 우리 가족이 굶어 죽어가고 있어요. 살려 주세요!해충과 동물들의 습격아아악! 메뚜기 떼가 몰려와 농작물을 모두 먹어치우고 있어요. 5 ... ...
동식물의 즐거운 새해맞이 잔치
과학동아
l
201001
예쁘게 물들었다. 물까치는 식성이 좋아 물고기나 개구리, 지렁이 같은 작은 동물 외에
벼
, 콩, 옥수수 같은 농작물도 먹는다. 이날은 특별히 사람이 선물한 과일(까치밥)을 먹고 있다.베스트 드레서는 무엇을 먹을까. 혹시라도 음식을 흘려 옷이 망가질까 겁이 나 굶고 있을까. 까만 양복에 노란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12
내린다입하 5월 6일경 여름이 시작된다소만 5월 21일경 여름 기분이 난다망종 6월 6일경
벼
를 심는다하지 6월 22일경 낮이 가장 길다소서 7월 7일경 더워지기 시작한다대서 7월 23일경 몹시 덥다입추 8월 8일경 가을이 시작된다처서 8월 23일경 더위가 그친다백로 9월 8일경 흰 이슬이 내린다추분 9월 23일경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
과학동아
l
200910
모심기를 할 때 갈치가 가장 많이 소비됐다는 기록이 나온다. 실제로 시골에서 모심기나
벼
베기 같은 큰 행사가 있으면 어김없이 갈치가 주요 메뉴로 등장했다. 여기에다 갈치창자젓과 막걸리 한 사발을 곁들이면 최고의 논두렁 식사가 됐다. 갈치는 어떻게 최고의 인기 생선이 될 수 있었을까.돈을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08
더 빨리 수확할 수 있는 보리 품종을 개발하려고 노력해왔다.국립식량과학원
벼
맥류부 최재성 연구관은 “육종 결과 겉보리와 쌀보리는 5일, 맥주보리는 10일씩 성숙기가 빨라졌다”며 “이와 함께 수확량 증가도 육종의 큰 성과”라고 말했다.보리는 원래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쌀에 비해 떨어지기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08
운반이나 저장에 적합한 품종 등 다양한 신품종이 탄생했다.한일강제합병 당시 한국의
벼
생산량은 300평(약 990㎡)당 120kg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금은 같은 면적에서 무려 4배가 넘는 약 500kg이 생산된다. 토지생산성이 이렇게 획기적으로 증가한 것은 새로운 품종 육성과 재배방법 개선 덕분이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