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사
독살
거주
독기
d라이브러리
"
살기
"(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 바이오블리츠-생물다양성탐사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0
태화강에 살고 있는 어류 친구들을 찾는 것이 중요했어.태화강은 예전에는 생물들이
살기
힘든 곳이었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기준으로 보면 1996년에는 11.3ppm으로 6등급의 더러운 물이 흐르고 있었거든. 하지만 2008년 태화강 하류 일대를 생태·경관 보전지역으로 선정하고, 태화강 살리기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9
되면 우리 북극 곰은 더 이상 살 곳이 없어지겠죠?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서 북극에
살기
힘들어진 건 사실이에요. 하지만 다른 곳이라고 안심할 순 없어 요. 미국 항공우주국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해수면이 1m 이상 높아지면 도쿄와 싱가포르 등 세계의 큰 도 시들도 물에 잠길 거라고 해요. 그러니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7
%는 농사를 짓고, 가축을 기르는 데 사용되고 있어요. 그런데 2050년 96억 명의 인구가 먹고
살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훨씬 많은 89%의 물을 농·축산업에 써야 한답니다.그래서 우린 먹을 거리가 부족해질 2050년을 대비해 지금 우리가 먹는 곡물이나 소, 돼지, 닭고기를 대체할 무언가를 찾아야만 하는 ... ...
지렁이 소화 능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7
되면 피부가 말라서 숨을 쉴 수가 없답니다. 어둡고 적당하게 축축한 땅속이 제가 가장
살기
좋은 환경이에요.그런데 네 입은 이쪽이니, 저쪽이니? 구분하기가 너무 어려워~.제 몸은 보시다시피 길쭉한 원통 모양이에요. 고리 모양이 여러 마디 모여 있다고 해서 ‘환형(環形)동물’이라고 하지요.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5
공중에 뜨면 바람을 타고 날아간다.➌ 거미줄에 매달려 멀리 날아간 거미들은 자신이
살기
에 적당한 곳에 도착한다.➍ ‘배회성 거미’들은 식물 위나 땅 위를 돌아다니면서 생활하고, ‘조망성 거미’들은 그물을 치고 그 안이나 주변에서 살아간다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5
매미의 주요 포식자는 새와 말벌이에요. 상대적으로 숲이 적은 도시에는 새가 적게
살기
때문에 말매미가 더 많이 번식한 거라고 추측할 수 있답니다.매미가 많은 지역은 매미의 출현도 빨랐다지난 2012년 시민참여과학의 일종인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매미를 탐사하면서 말매미에 대한 새로운 ... ...
특종! 투구게의 비밀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4
피는 투구게의 생존 비결투구게는 튼튼한 갑옷을 입고 있으면서 다양한 생물을 먹고
살기
때문에 오르도비스기 이후 5번의 생물대멸종이 일어나는 동안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어요. 그리고 투구게에겐 또 하나의 특별한 생존 전략이 있어요. 바로 ‘피’랍니다.1956년, 미국 우즈홀 해양생물학 ... ...
메르스 신종 바이러스의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3
예측했어요. 바이러스는 혼자서는 살 수 없기 때문에 숙주 몸속에서 오랫동안 함께
살기
를 원하거든요.실제로 강력했던 신종 바이러스도 시간이 지나면 점점 힘이 약해지며 숙주와 함께 사는 ‘공생’을 선택해요. 한 예로, 1780년대 홍역이 덴마크령의 파로섬에 유행했을 때는 많은 사람이 죽었어요. ... ...
대나무 없인 못 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3
했어요. 최종적으로 판다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국 서부에서 대나무를 먹고
살기
로 결정했고, 지금과 같은 초식 동물이 됐답니다.*식육목 : 척추동물 포유강의 하위 분류 중 하나로 보통 육식동물을 지칭한다. 멸종을 향해 가는 판다솔직히 말하면 대나무는 맛있지만 썩 좋은 영양식은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11
별명으로 더 유명하다. 회선사상충을 옮기는 흑파리가 유속이 빠른 하천 주변에
살기
때문이다. 흑파리가 잔뜩 있는 강에 뛰어들거나 주위에 있을 경우 흑파리를 통해 성체 회선사상충이 사람의 몸으로 침투한다. 성체는 몸속에서 하루에 1000마리 이상 새로운 유충을 만든다. 이런 유충들은 피부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