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카데미
한림원
학사원
예술원
대한민국학술원
d라이브러리
"
학술원
"(으)로 총 71건 검색되었습니다.
3. 훈련 : 유아·아동기 부모가 자녀에게 실천하는 우뇌 개발법
과학동아
l
199605
음식이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어린 시절부터 두뇌를 훈련시키는 방법은 무엇일까.인간의 대뇌는 크기나 모양이 같은 좌우 대칭형태로 나뉘어져 있으며, 뇌량이라는 신경섬유다발로 연결돼 있다. 그런데 1981년 뇌기능분화론으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스페리 박사에 따르면, 오른쪽뇌와 왼쪽뇌 ... ...
장군석 발견으로 최연소
학술원
상 받아
과학동아
l
199512
국제학술회의에서 저명한 학자들과 겨루며 논문을 발표한 일, 그리고 1994년에는 최연소
학술원
회원의 명예를 얻게 된 일이 그것이다. 무엇보다도 40여명의 석사와 12명의 박사를 배출한 일과 그동안 우수한 학생들과 같이 연구하면서 동고동락을 했으니 외길 인생치고는 즐거운 길이었다고 생각한다 ... ...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03
측량법이 총동원돼야 하는 제작작업의 성격상 지도는 당대의 과학기술 수준을 헤아리는 훌륭한 자료다. 우리 조상들은 외국에서 들여온 기구를 개량하거나 독창적인 기구를 만들어 세계 최고 수준의 지도를 만들었다.지도는 언어로는 설명이 불충분한 공간 정보를 전달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매 ... ...
PART.1 두눈 시각차 이용, 환상의 3차원 영상 만든다
과학동아
l
199407
그는 사람의 양쪽 눈이 보는 이미지 차이가 입체적인 깊이를 지각시킨다는 사실을 영국
학술원
에 보고했다.그는 마주 향하는 이미지들을 반사시키기 위해 45° 각도의 거울을 사용해 두개의 사진이 보는 사람의 눈을 향해 반사되도록 측면에 배치했다. 이 거울 입체경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 눈에 ... ...
2. 카오스운동 지배하는 새로운 질서 '끌개'의 비밀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401
될지는 카오스의 리듬처럼 정확히 예측하기는 힘들지만, 록펠러대학 교수이자 뉴욕
학술원
이사인 하인스 페이겔스는 그 중요성에 대해 "이 복잡성의 과학(카오스이론 포함)의 도전을 받아들여 이를 지배해서 그 지식을 새로운 산물에 적용할 수 있고 새로운 사회조직을 형성할 수 있는 사회가 다음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11
시작했다. 그 상징적인 사건으로 1945년에 여성과학자 마조리 스티븐슨이 영국 런던왕립
학술원
의 회원자격을 획득했으며 이제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과학자들이 활약하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 여성과학자의 경우 아직도 많은 핸디캡을 안고 있으며 유형무형의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이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11
년엔 다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으로 자리를 옮겨 석좌교수가 되었다. 현재 미국 국립과학
학술원
회원이며, 이번에 노벨상을 수상하기 이전에도 여러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생체현상과 관련된 반응속도 측정마커스교수의 중요 업적은 화학반응의 속도를 예측가능하게 해주는 여러 이론들을 유도한 ... ...
「과학입국」 초석을 다지다
과학동아
l
199205
도와주시오.""그렇게야 생각하지만 내 마음대로 되겠습니까?"그렇지만 그는 미국
학술원
의 도움을 받아 타당성 조사를 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여기서 특기할 것은 이 조사에 참가했던 미국 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그 명칭을 과학재단이라고 하지 말고 과학기술재단이라고 하는 것이 좋겠다는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04
교수 등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러한 석학들을 모시고 한국에 왔다갔다하던 미국
학술원
(NAS)의 국제협력담당직원이었던 존 헐리(John G. Hurley)는 대덕연구학원도시의 구상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써서 조지 워싱턴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기도 하였다. 미국 학자들의 도움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03
그렇기 때문에 1838년 프랑스의 식물학자 파양은 무명을 les cellules라 불렀고 이를 프랑스
학술원
이 받아들여 면의 주성분을 cellulose라 명명하였다. 셀룰로오스의 ose는 글루코스 프락토스에서 처럼 당(糖)의 이름에 쓰이는 어미이며, 셀룰로오스는 실제로 '중합된' 당인 고분자다. 면으로 시작된 근대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