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카데미
한림원
학사원
예술원
대한민국학술원
d라이브러리
"
학술원
"(으)로 총 75건 검색되었습니다.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6쪽의 짧은 논문이다. 베를린
학술원
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간행물에 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가우스가 거의 발굴해 놓은 소수 황금계단 위에 쌓인 흙먼지를 ... ...
편지에서 시작된 난제 골드바흐의 추측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태어났지만 대부분 러시아에서 살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왕립
학술원
의 교신 책임관으로 일했다. 사회적으로 성공하며 수학 연구에 계속 집중하지는 못했지만, 지위 덕택에 유럽의 수많은 일류 수학자와 편지로 교류했고 특히 오일러와는 30년 이상 편지를 교환했다. 오일러는 골드바흐가 ... ...
[수학뉴스] 아벨상 수상자 루이스 니런버그 96세 나이로 타계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인정받아 만 90세가 되던 2015년에 아벨상을 수상했습니다. 아벨상은 2003년 노르웨이
학술원
이 유명한 노르웨이의 수학자 닐스 헨리크 아벨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해 만든 권위있는 상으로,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도 불립니다.편미분방정식은 여러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시간에 따른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사회적 책무를 다하길 권유하며 인생의 후반기를 보냈다. 파인만은 1955년 미국 국립과학
학술원
모임에서 ‘과학의 가치’를 강연하며 이런 명언을 남겼다. ‘추장님’의 100세를 기념해 이 말을 다시 한번 되새겨본다. “현재 우리는 앞으로 인류가 누릴 긴 역사를 시작하는 시점에 있습니다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
과학동아
l
2017년 06호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의학
학술원
(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금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패닉 상태에 빠졌습니다. 소금 줄여먹기를 주도했던 세계 최고 권위의 학술단체에서 입장을 바꿨기 때문이죠.”함경식 목포대 ... ...
[재미] 7화 쳇바퀴를 돌리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지방 판사였는데, 어느 정도 이름이 있는 수학자이기도 했다. 수학에 관한 정보를 나누는
학술원
의 회원으로도 활동했다. 하지만 아들인 파스칼이 수학의 매력에 빠져 다른 분야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을까 봐 걱정했다. 그래서 모든 수학 교과서를 눈에 띄지 않는 곳에 숨겨버렸고, 일상에서조차 ... ...
[수학뉴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한 앤드루 와일스, 아벨상 수상!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정리를 해결한 앤드루 와일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를 아벨상 수상자로 선정했습니다.
학술원
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만큼 수학적 역사가 풍부하고 극적인 증명이 없다’며 와일스 교수의 여러 업적 가운데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이 아벨상을 받은 직접적인 이유라고 밝혔습니다.영국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리만 가설1859년 11월, 독일의 수학자 베른하르트 리만은 베를린
학술원
에 가입하기 위해
학술원
간행물에 논문을 발표했다. 라는 제목의 10쪽짜리 짧은 논문이었다. 획기적인 내용이 담겨 있긴 했지만, 리만 자신은 그리 만족스럽지 않았다. 증명 없이 ... ...
수학자 열전 한국 근대 수학의 뿌리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군론의 개념 중 하나로, 현대 수학의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업적으로 캐나다
학술원
회원이 되었어요. 세계 여러 인명사전에 제 이름이 올랐고요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것처럼 여겨지게 된 것은 또 다른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1993년 미국국립
학술원
이 뒤늦게 앨퍼와 허먼에게 헨리 드레이퍼 상을 수여하면서 “우주의 진화에 대한 물리적 모형을 발전시키기고 우주배경복사의 존재를 예측”한 공로를 치하했지만 말이다. 함께 만들어가는 과학의 길역사는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