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명"(으)로 총 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욕은 왜 하는 걸까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환자 중 10%는 욕을 불쑥불쑥 내뱉는 강박적 외설증을 앓고 있다. 이들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촬영한 결과 정상인과 비교해 대뇌피질 부분은 비활성화된 반면 변연계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논리적인 언어생활은 힘들지만, 과거에 들었던 욕설 한두 개를 ...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운동선수 얘긴가 궁금하실 수 있는데, 생체 내부의 단백질 구조를 질량분석법과 핵자기공명 분광법으로 밝혀 2002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쿠르트 뷔트리히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교수의 일화입니다.전 세계 과학계의 축제, 노벨상 이야기를 준비하며 문득 뷔트리히 교수가 떠올랐습니다. 정확히는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하지만 테슬라는 자신이 만든 테슬라 코일로 실험하던 중 신호를 같은 진동수로 공명시키면 송수신이 가능해진다는 것을 발견했고, 후대 과학자들은 이 개념을 사용해 라디오나 TV를 발명할 수 있었답니다. 2020년 10월 21일에 개봉한 영화 ‘테슬라’는 전류 전쟁 이후의 테슬라의 모습을 ... ...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원통형 구조에 알맞게 들어가며 단단하게 결합한다.과학자들은 이런 브릭으로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부품을 만들었다. 안봉영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전측정연구소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MRI 장치의 영상 품질을 평가하는 장치인 ‘팬텀(phantom)’에 브릭을 소재로 활용해 ...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신경과학자인 다프나 조엘과 동료 연구자들은 1400명(13~85세) 이상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로 촬영해 성별에 따른 차이가 가장 큰 뇌 영역 10곳을 특정했다. 이어서 연구팀은 조사한 뇌의 각 영역이 남성 쪽 특성인지, 여성 쪽 특성인지, 아니면 그 중간의 특성을 갖는지 평가했다. 그 결과 3~6%의 ... ...
- [한페이지 뉴스] ‘시간 왜곡’ 뇌에서 증거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것이다. 연구팀은 시간 왜곡이 일어날 때 뇌의 어떤 부분이 활성화되는지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해 알아봤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오른쪽 하두정소엽의 모서리위이랑(SMG·supramarginal gyrus) 활성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활성도가 많이 감소한 피험자일수록 ...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연구팀은 실험자 83명의 뇌 구조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분석한 결과, 실험자들이 인간이 아닌 것에 대한 의인성을 인식할 때 정신화와 마찬가지로 좌측 측두정엽의 회백질 부위가 관여함을 알아냈다. doi: 10.1093/scan/nst109▪관련어: 의인법,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17.817★ 이찬혁이 작곡에 사용하는 기타는 현악기로 앞뒤가 편평한 표주박 모양의 공명통에 6개의 줄을 댄 형태다. 왼손가락을 프렛 위에 놓고 오른손가락으로 줄을 튕겨 연주한다. 이때 줄이 6개밖에 되지 않는데도 여러 음을 낼 수 있는 이유는 왼손으로 어디를 잡느냐에 따라 튕기는 줄의 길이가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단위로 나눈 뒤 진한 정도(gray level)를 분석해 질감의 특징을 추출했다. 여기에는 자기공명영상(MRI)과 같은 흑백 영상의 특징을 분석하는 ‘하랄릭 질감 특징(Haralick texture features)’ 계산법이 사용됐다. 또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해 해빙의 질감 특징 데이터를 학습시킨 뒤 이를 토대로 해빙의 종류를 ... ...
- [팩트체크] 청색광은 망막을 얼마나 손상시킬까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겪는 소방관을 대상으로 2500~1만lux(럭스)의 빛 노출이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뇌 자기공명영상(MRI) 기법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 교수는 “거실의 빛은 200~600lux, 책상 스탠드 전등의 빛은 1000lux 정도임을 고려하면 상당히 밝은 빛”이라며 “오전에 이 정도의 밝은 빛을 쪼인 실험군에서 불면증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