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토대
터전
기본
근거
기틀
파운데이션
d라이브러리
"
기반
"(으)로 총 2,002건 검색되었습니다.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알아낼까? 지금까지 우주선의 위치는 지구를 중심으로 지상과의 통신이나 탐지 거리를
기반
으로 파악해왔다. 하지만 최근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중성자별이 내보내는 전자기파인 펄서를 GNSS 위성과 같은 방식으로 활용하는 기술도 연구 중이다. 자전 주기가 일정한 중성자별의 ... ...
[빅잼] '더 마블스' 히어로 파워의 원천 ‘광자' 현실에 쓴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입자인 이중성을 갖습니다. 영화에서 댄버스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은 빛의 입자성에
기반
한 상상입니다. 입자란 운동에너지를 가진 물질이고, 운동에너지를 가진 물질은 다른 물질과 부딪히면 그 물질을 움직이게 하죠. 영화 속 댄버스가 빛을 흡수할 때 팔이 밀리지 않도록 잡고 있는 모습을 보면, ... ...
[최신 이슈] 에너지·화학 산업에 불어온 ‘흰 물결’ 화이트바이오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형민 GS칼텍스 바이오퓨얼팀장은 “폐원료를
기반
으로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화이트바이오 기술을 통해 화석연료로 생산되는 제품을 대체함으로써 도로〮해운〮항공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유년기 때 모래나 찰흙 등을 빚어 재미난 형상을 만들어본 추억은 누구나 있을 것입니다. 겨울엔 눈으로 저마다 개성 있는 눈사람도 만들어보셨겠죠? 모래 ... 재직 중이다. 재료와 공정 간 상호 반응에 따른 특성 상관관계 해석을
기반
으로, 금속 적층성형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hgk@kitech.re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2022년 11월 30일 챗GPT 베타버전을 발표했다. 2020년에 출시한 GPT-3의 개량 모델 GPT-3.5를
기반
으로 제작한 베타버전은 인간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 ‘RLHF(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를 통해 언어모델의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 것이 특징이다. 챗GPT는 2023년 1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전임교수로 재직 중이다. 새로운 물성을 갖는 나노입자 합성 연구 및 합성된 양자점
기반
진단키트, 바이오이미징 등의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npark@unist.ac ... ...
[과동키즈] 우린, 모두, 과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적성을 더욱 살릴 수 있는 산업계에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광학 또는 전자빔
기반
의 진단 계측 시스템을 개선하고 최적화하는 기술 등의 발전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미래의 과학을 발전시킬 모두의 잠재력돌이켜보면 지금의 저는 고등학생 때 상상하던 모습과는 사뭇 다릅니다. 과학 ... ...
[Space Math] 우주를 향한 인류의 호기심이 현실이 되려면?
수학동아
l
2023년 11호
편집자 주스타버스트는 미국에
기반
을 둔 우주 항공 분야의 스타트업을 전문적으로 발굴하고 지원하는 기업이다. 2012년 설립돼 현재까지 120여 개의 우주 항공 기업에 투자했다. 이런 스타버스트가 2020년 한국 지사를 설립하고 투자할 한국 스타트업을 찾고 있다. 그런데 그곳의 수장인 김상돈 ... ...
[노벨상 2023] 물리학상 - 100경분의 1초, 아토초로 원자의 이온화 순간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강력장 물리학 연구의 기폭제가 됐다. 이런 분위기에서 아토초 펄스를 만들 수 있는
기반
연구는 자연스럽게 이어졌다. 아고스티니 교수와 같은 CEA 연구실에 있던 륄리에 교수와 그의 동료들은 1988년 1064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의 적외선 레이저를 이용해 고차조화파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 ...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
과학동아
l
2023년 11호
'많은 이들의 예상이 맞았다.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커리코 커털린 독일 바이오엔테크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 의생명과학과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RNA를
기반
으로 하는 백신과 백신증강제를 개발하고 있다. jhnam@catholic.ac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