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실제로 기분이 좋아진다. 또한 포도당은 보상, 쾌락과 관련된 도파민 분비도 촉진한다.
미국
임상영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당을 먹으면 뇌의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돼 도파민이 분비된다. 이는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도록 만든다. doi: 10.1093/ajcn/62.1.242S 하지만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과한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교수팀은 상어에 있는 이빨 재생 유전자가 인간에게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바로 Sox2 유전자입니다.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년 전, 인간과 상어가 공통의 고대 조상을 갖고 있던 이래 쭉 유지돼 왔습니다. 다만 인간은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과학자로서 내 연구가 증명된 것 같아 좋지만, 다른 한편으로
미국
인이므로 이 힘든 시기를 살아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터친은 역사 동역학의 목적이 과거 역사 데이터를 이용해 역사를 움직이는 법칙을 찾는 것이지만, 나라의 흥망성쇠를 예측할 수 있는 완벽한 도구는 ... ...
방정식으로 외계인 찾기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다른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만 알아보는 방정식을 만든 과학자도 있다. 2013년 캐나다계
미국
천문학자 사라 시거는 생명체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는 행성의 수를 구하는 일명 ‘시거 방정식’을 발표했다. 별이 행성을 거느리려면 태양보다 크기가 크지 않고 온도도 높지 않아야 한다. 이런 별을 ... ...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연구가 잘됐는지 어떻게 평가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혁신적인 연구가 나오기 힘들다는 뜻이죠. 홍 본부장은 반대 사례로
미국
을 들었습니다.
미국
에선 과제가 선정되긴 어려우나, 일단 지원을 받으면 평가는 빡빡하지 않다고 말입니다.‘더 나은 연구를 돕는다’ 평가 본연의 목적 되새겨야 이런 R&D 연구 평가가 처음부터 문제였다고 볼 수는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있죠. 그 일상을 독자 여러분과 함께 나눌 수 있어서 기쁩니다.” 인스타그램 같은 SNS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한 다양한 계정이 있는 덕분에 온갖 아름답고 거대한 천문 사진을 접하기는 쉽다. 우주의 무수한 모습들 중에서 365장의 의미 있는 사진을 선택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는 ... ...
[특집] 개코와 똑같다?! 복제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똑같은 동물을 복제해 주는 산업이 등장했습니다. 반려동물 복제 업체는 2015년
미국
에서 처음 설립된 후 우리나라와 중국 등 전 세계로 확대됐어요. 최근 한 유튜버는 반려동물 복제 업체를 통해 죽은 반려견을 복제한 강아지 두 마리를 공개했습니다. 영상에서 유튜버는 “영상을 본 누군가는 ... ...
[4컷만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파충류 피부, 주인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발견했어요. 지금까지 발견된 피부 화석 중 가장 오래된 것이었습니다. 이 피부 화석은
미국
오클라호마의 석회암 동굴에서 발견됐어요. 동굴이 석유로 가득 차 세균이 번식할 수 없어 지금껏 썩지 않았죠. 연구팀은 “뼈가 남아있지 않아 어떤 동물의 화석인지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피부 화석이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문제를 풀어내는 경연대회는 1977년부터 매년 전 세계 곳곳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1952년
미국
의 수학자이자 컴퓨터과학자였던 클로드 섀넌이 처음으로 테세우스라는 로봇 쥐에게 미로를 풀게 한 것이 시작이었죠. 공학자들이 로봇 쥐에 열광하는 이유부터 로봇 쥐가 미로를 빨리 통과할 수 있는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속에 녹아 있던 산소가 공기 중으로 퍼지면서 바닷속 산소의 농도가 낮아집니다. 2019년,
미국
스크립스 해양연구소는 바닷물 속 산소가 줄어들면 오징어나 문어 등 일부 해양 생물들이 시력을 잃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오징어가 먹이를 잡고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선 눈의 망막이 빛의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