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의 증식이 시작된다. 잠복기는 8~10년으로 매우 길다.자신의 유전체를 숙주인
박테리아
(세균)의 DNA 속에 끼워 넣어 감염 시키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는 아예 다른 전략을 구사한다.가령 대장균을 감염시키는 박테리오 파지인 T4 파지는 대장균의 DNA 속에 자신의 유전체를 넣는데, 곧바로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몸에 주입해 미리 기억 T림프구와 기억 B림프구가 생성되도록 돕는 것이다.그렇다면
박테리아
나 바이러스와 같은 항원이 아니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돼 우리 몸에서 증식하게 되면 어떨까. 암세포도 항원처럼 정상세포에는 없던 물질을 표면에 발현시키는 등 자신이 다른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단백질 백신을 생산한다.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정보를
박테리아
나 동물 세포 등에 삽입해 직접 항원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개발한 단백질 백신을 펩타이드(peptide) 백신이라고 부른다. 펩타이드 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서브유닛 백신과 비교해 부족했던 면역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물론이고 우리 몸속에도 장내미생물만큼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살고 있다. 지구상에서
박테리아
(세균)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낯선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똥 싸는 모습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꽃가루뿐 아니라 오늘날 바퀴벌레 내장에 있는 미생물과 매우 유사한 원생동물과
박테리아
를 찾았어요. 이를 통해 곤충과 내장 미생물의 공생이 최소 1억 년 전부터 시작된 사실도 알아냈답니다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
(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만 증식하기 때문이다. 1948년 미국 보스턴아동병원 교수였던 존 프랭클린 엔더스와 토머스 허클 웰러 그리고 프레더릭 채프먼 로빈스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작용한 것이다. 생성된 항체는 다른 동물의 적혈구는 파괴하지 않았다. 적혈구는
박테리아
와 달리 번식하지 않아 통제가 쉽고,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적혈구는 붉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도 쉽다. 적혈구를 이용하는 면역 실험은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효과가 있다는 근거는 없다”고 밝혔다. 마늘의 활성 화합물은 살모넬라균 등 일부
박테리아
(세균)에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증거는 없다. 마늘 외에 거론되고 있는 다른 음식도 있다. 비타민C 영양제와 비타민C가 다량 함유된 레몬과 같은 ... ...
코로나19 팩트체크┃ 백신, 치료제, 개발됐나?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폐렴구균이라는
박테리아
에 작용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없다. 마찬가지로
박테리아
의 번식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항생제도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없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폐렴구균 백신 등이 코로나19를 예방할 수는 없다”며 “다만 건강을 위해서 폐렴백신을 맞는 건 권장한다”고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달고 사는 약골이었지만, 어쩐 일인지 스페인 독감만은 이겨내고 81세까지 살았다. 특정
박테리아
(세균)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물질(항원)에 노출됐을 때 목숨을 잃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를 극복하는 사람이 있다. 그 차이는 바로 인체의 면역시스템에 있다. 우리 몸의 면역시스템은 내 것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