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테리아"(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STEP ② 숙주세포 침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런 전략을 쓴다. 박테리오파지가 박테리아에 붙으면 바이러스의 꼬리 부분 섬유가 박테리아의 세포막에 파고들고, 이때 유전체를 세포 내부로 밀어 넣는다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상층액에서, 인 표지는 박테리아 세포가 포함된 침전물에서 각각 발견됐다. 단백질은 박테리아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는 뜻이었다. 이 실험은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힌 동시에 DNA가 유전물질이라는 사실도 최초로 알아냈다. 이후 제임스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작용한 것이다. 생성된 항체는 다른 동물의 적혈구는 파괴하지 않았다. 적혈구는 박테리아와 달리 번식하지 않아 통제가 쉽고, 양을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적혈구는 붉은 색소를 포함하고 있어 실험 결과를 확인하기도 쉽다. 적혈구를 이용하는 면역 실험은 지금도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가능하다. 세포전체 백신은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약화하기 위해, 단백질 백신은 박테리아나 동물 세포에서 원하는 단백질을 생성하게 만들기 위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하지만 핵산은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물론 핵산 백신에도 단점은 있다. 면역반응을 ...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똥 싸는 모습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꽃가루뿐 아니라 오늘날 바퀴벌레 내장에 있는 미생물과 매우 유사한 원생동물과 박테리아를 찾았어요. 이를 통해 곤충과 내장 미생물의 공생이 최소 1억 년 전부터 시작된 사실도 알아냈답니다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virus)와는 알파벳 첫 글자부터 다르다. 결국 이들의 관계를 종합하면 ‘바이러스≠세균=박테리아’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바이러스와 세균은 유전물질을 갖고 있고,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사실 많은 부분이 다르다. 우선 세균은 유전물질을 DNA로 저장하지만, 바이러스는 DNA뿐만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단백질 백신을 생산한다.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유전자 정보를 박테리아나 동물 세포 등에 삽입해 직접 항원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개발한 단백질 백신을 펩타이드(peptide) 백신이라고 부른다. 펩타이드 백신의 가장 큰 장점은 서브유닛 백신과 비교해 부족했던 면역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항바이러스제는 대부분 한 종류의 바이러스에만 효과를 나타낸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세포 내부로 침투해 숙주의 효소로 증식하기 때문에 인체에 부작용 없이 바이러스만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하기도 쉽지 않다. 그동안 상당수의 항바이러스제가 구토와 설사, 발열 등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몸에 주입해 미리 기억 T림프구와 기억 B림프구가 생성되도록 돕는 것이다.그렇다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와 같은 항원이 아니라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정상세포가 암세포가 돼 우리 몸에서 증식하게 되면 어떨까. 암세포도 항원처럼 정상세포에는 없던 물질을 표면에 발현시키는 등 자신이 다른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물론이고 우리 몸속에도 장내미생물만큼 많은 수의 바이러스가 살고 있다. 지구상에서 박테리아(세균)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를 통칭하는 박테리오파지의 무게를 더하면 전 세계 코끼리를 합한 무게의 1000배가 넘는다. 문제는 인간에게 낯선 바이러스가 인간을 숙주로 삼을 때 발생한다. 낯선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