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테리아"(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모래+박테리아=살아있는 콘크리트?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적정한 환경에서 배양액만 교체해주면 다시 증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 조건에서는 블록이 손상을 입어도 복구될 수 있다는 뜻이다. 스루바 교수는 “외부환경에 반응하거나 센서 기능을 갖춘 건축 자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달이나 화성에 기지를 ... ...
- 황금쌀, 20년 만에 식탁 오를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베타카로틴이 합성되려면 이 세 가지 과정이 쌀의 배젖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 연구팀은 박테리아인 에르위니아(Erwinia uredovora)에서 파이토엔 불포화효소(PDS/Crt1)가 파이토엔을 라이코펜으로 바꾼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 효소와 함께 나팔수선화(Narcissus pseudonarcissus)에서 파이토엔을 합성할 수 있는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박테리아에 침입해 자신의 DNA를 주입하면 박테리아는 자신의 번식에 큰 타격을 입는다. 박테리아는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가 계속 증식하는 소위 ‘병참기지화’에서 벗어나는 체내 시스템이 필요했고, 박테리오파지 바이러스의 DNA를 잘라 자신을 보호하는 면역체계의 일종으로 크리스퍼-캐스 ... ...
- [식물 속 동물찾기] 문지르면 고린내 주의! 족제비싸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5월~6월이 되면 길가 곳곳에서 어두운 자주색 꽃이 자잘하게 달린 나무 ‘족제비싸리’를 볼 수 있어요. 꽃이 이루는 꽃차례가 족제비의 꼬리를 닮았다거나, ...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는 공기 중의 질소를 흡수해 암모니아로 배출하는 뿌리혹 박테리아와 공생하는 덕분이랍니다 ... ...
- [과학뉴스] 엉뚱하다고? B급이라고? 2019 황금거위상 vs.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자동 기저귀 교환기’를 발명한 이란 연구팀이, 경제학상은 어느 나라 지폐가 박테리아를 가장 잘 옮기는지 조사한 터키 연구팀이 수상했다. 참고로 답은 루마니아 지폐였다.평화 증진에 기여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평화상은 어느 부위를 긁었을 때 가장 쾌감이 좋은지를 분석한 미국 등 ... ...
- 유산균 프로젝트, 40일간의 똥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락토코커스 락티스’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루스’ 가 들어있지요. 한편 비피도박테리아로는 ‘비피도박테리움 롱굼’과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가 들어 있답니다. Q 유산균 말고 다른 것도 들어있나요? 성장기의 어린이들이 쑥쑥 자랄 수 있는데 필요한 비타민 D와 아연이 들어 ... ...
- [과학뉴스] 위장크림처럼 세포막 바른 박테리아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리우 교수는 “이 기술은 장내 미생물이나 치료용 박테리아 같은 다른 균주에도 적용할 수 있다”며 “적혈구, 백혈구, 암세포 등 다양한 세포막으로도 코팅할 수 있어 여러 용도로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467-019-11390-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구체적인 정보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접착성을 띤 발색 신소재를 개발하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같은 유해 인자가 붙어있는 특정 공간만 색이 변하게 할 수 있다. 홍 교수는 “발색에 접착성까지 갖춘 유기 신소재의 이론적 토대를 만들어 새로운 체외 진단기술 개발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 ...
- 진화학자가 번역한 ‘종의 기원’ 자연 선택 이론은 왜 ‘혁명’이 됐을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나온 사촌지간으로 인식된다. 즉, 침팬지도, 인간도, 개미도, 고래도, 심지어 난초와 박테리아도 몇몇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와 각자의 환경에서 나름대로 적응해 살고 있는 생명체들이다. 공통 조상과 생명의 나무 개념에서는 우월하거나 열등한 종 따윈 없다. 이것이 바로 160년 전 다윈이 인류의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암컷이 서로 다른 종류의 볼바키아를 보유한 경우 알은 발생 초기에 죽어버린다. 이렇게 박테리아 감염으로 알이 죽는 경우를 ‘세포질 불합치’라고 하는데, 곤충학에서는 8대 발견 중 하나로 꼽는다. 다만 그 원리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볼바키아는 모기 개체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