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화기능"(으)로 총 5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파란색 스키복이 돋보이는 선수가 붉은색과 파란색 기문이 꽂힌 슬로프를 S자 모양으로 활강한다. 기문 사이를 몇 차례 멋지게 통과하고 마지막 기문을 향해 방향을 회전하는 순간, 중심을 잃고 쓰러져 버렸다. 한 바퀴를 구르고 폴대까지 놓친 채 널브러진 선수. 여기저기서 달려온 스태프들이 쓰 ... ...
- [Issue] 미역국 먹으면 대학 떨어진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매년 11월 둘째 주 목요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지는 날에는 온 나라가 초비상 모드가 됩니다. 출근 시간이 늦춰지고 증시가 늦게 개장하며, 영어 듣기평가 시간에는 비행기의 이착륙도 금지됩니다. 수능 성적이 대학 진학은 물론, 취업과 결혼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대학민국의 ‘웃픈’ ... ...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 ‘쿠쿠쿵’ 지진으로 5층 아파트가 주저앉았다. 무너진 잔해에서 재빨리 생존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 무선 조종 로봇을 급히 투입했지만 좁은 틈과 높은 장애물에 가로막혔다. 첨단 휴머노이드 로봇도 출동하자마자 무거운 건물 잔해에 깔려버렸다. 실제 재난 현장을 가정하면 제아무리 첨단 로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단백질은 우리 몸을 이루고, 생명현상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물질이에요.단백질의 기능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를 알아야 해요. 이때는 X-선을 이용하지요. ‘단백질 결정학’이라고 부르는 이 분야를 개척한 사람은 영국의 과학자인 도로시 호지킨이랍니다.1910년 5월 12일에 태어난 호지킨은 옥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윽! 이 징그러운 녀석이 내 뱃속에서 영양분을 뺏어 먹으며 기생하고 있다니,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매년 봄, 가을에 엄마가 사다주시던 기생충 약을 안 먹은지 얼마나 됐더라. 회도 육회도 좋아하는 내 뱃속에 기생충이 가득 꿈틀거리고 있는 건 아닐까. 우웩!흔히 볼 수 없지만, 그나마 있는 기생 ... ...
- [Issue] 편리한 현대의 딜레마, 포장지 속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과불화화합물. 이름은 낯설지만 방수제와 윤활제, 페인트와 잉크, 종이, 섬유, 카페트, 조리도구, 반도체 세정제, 소화약제까지 안 쓰이는 곳이 없다. 특히 반질반질하게 코팅된 종이 음식 포장지에는 두세 개 중 하나에 과불화화합물이 쓰였다. 과불화화합물은 다른 물질은 따라올 수 없는 발수력( ... ...
- Part 2. 슈퍼카를 만드는 3가지 비결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엔진 속 최적의 비율사람이 섭취한 음식은 소화기관을 거쳐 몸을 움직일 수 있는 에너지로 바뀐다. 자동차가 섭취하는 음식이 가솔린, 디젤 같은 연료 또는 전기라면 소화기관은 바로 ‘엔진’이다. 엔진은 화학, 전기에너지를 자동차 바퀴를 회전시키는 에너지로 바꾼다.소화기관이 크고 튼튼하면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금 논란이 뜨겁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5g 이하로 섭취량을 줄이라고 권고하는데, 최근 반대로 저염식(低鹽食)이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의학학술원(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자물질의 등장으로 응집물질물리학 연구 패러다임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발견하고 설명하는 방식이 아닌, 예측하고 발견하는 일종의 ‘게임’처럼 변해가는 중이다. 2월 22일, 강원도 용평에서 열린 양자물질 심포지엄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두 명의 ‘헌터’를 만났다.◀Xi Dai 시 다이중국과학원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찰스 다윈은 맹장, 정확하게 말하면 맹장 끝에 붙어 있는 작은 돌기인 ‘충수’가 있는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이론을 세웠다. 그는 유인원의 먼 조상은 잎사귀를 먹고 살았기 때문에, 섬유소를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이 사는 큰 맹장이 필요했다고 가정했다. 시간이 지나 유인원의 조상들은 소화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