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원"(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가능성은 0에 가깝다.이처럼 신원 확인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 이미 신원이 확실한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명의 자료, 흉부 엑스선 방법에 사용한 수만 장의 엑스선 필름들, 그리고 시체농장에 들어오는 수많은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키가 있다. 이외에도 외상, 질병, 혹은 치료의 흔적 등 뼈에 남은 특이한 점은 모두 신원 확인을 위한 단서가 된다. 이번 화에서는 법의인류학적 감식의 첫 단계, 뼈 목록을 작성하고 인종과 성별, 연령을 추정하는 작업을 살펴본다.등을 대고 누운 뼈감식은 널따란 직사각형 테이블에 뼈를 꺼내 ... ...
- [Tech & Fun] ‘CSI: 과학수사대’와 ‘알몸 절도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통해 DNA를 분석한다 하더라도, 초범인 경우 잡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DNA 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안’에 따라 성범죄나 살인, 방화, 마약 등 강력범의 유전자는 수사기관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구적으로 보관하고 있습니다. 범죄자가 과거 강력범죄 이력이 있다면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정보를 담고 있어요. 실제로 과학수사대는 사건 현장에서 뼈를 발견했을 때 사망자의 신원을 알아내기 위해 우선 이 뼈가 사람의 것인지 동물의 것인지 살펴보기 시작해요. 만약 사람이라면 몇사람의 것인지, 남자의 뼈인지 여자의 뼈인지 등을 조사한답니다. 게다가 이빨이나 두개골 뼈가 붙어 있는 ... ...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여성이 “자살을 한 사람의 시신도 기증할 수 있냐”는 문의전화를 걸어왔다. 나는 “신원이 확실하고 전염병이 없으면 기증을 받는다”고 대답했다. 얼마 뒤, 그녀를 시체농장에서 만날 수 있었다. 몸무게가 250kg이 넘었는데 사망하기 한참 전부터 거동도 못하고 약물로 간신히 생명을 버텨오다 ... ...
- [Knowledge] 뼈의 이야기를 듣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사 지역 별로 재분류해 700명 정도의 유해를 추렸다. 이 유해로부터 핵 DNA를 추출해 신원을 확인하기 시작했다. 최신 기술이었다. 이렇게 해서, 작년 말까지 151구의 유해가 가족 품을 찾았다.“모든 가능성을 검토해 최종 결과가 나오면 상사에게 보고하고 유족에게 돌려드려요. 그러면 유족 분들이 ... ...
- Intro. 바다의 셜록에 도전하다 수중과학수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타살인지, 사고사인지 구분할 수 없는 죽음이었다. 수중시체는 다른 변사체에 비해 신원과 사인을 밝히기가 유독 어렵다. 그동안 물속은 과학수사의 영향력이 닿지 않는 오지였다. 최근 이 철옹성에 균열이 생겼다. 물에서 증거를 찾는 ‘수중과학수사’가 움을 틔우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018년, 부산항에서 밀입국하려던 신원미상의 남자를 적발했다. 그의 소지품에서 저농축 우라늄 펠릿(원기둥 모양의 작은 제품) 수십 봉지가 쏟아져 나왔다. 같은 시각, 강원도 삼척의 해수욕장에서는 정체불명의 상자가 발견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과학수사대는 상자에서 방사선이 나오고 있다는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터뜨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경찰은 폭발 흔적에서 잘린 손가락을 찾아 테러범의 신원을 밝혀냈다. 그의 이름은 이스마일 오마르 모스테파이(오른쪽 위 사진). 29살의 알제리계 프랑스인이었다.모스테파이는 불과 3년 전까지 파리 서남쪽 샤르트르에 사는 평범한 이슬람교도였다. 인근 주민들은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올해 3월에는 소지품에서 발견한 세균과 손에 사는 세균을 비교해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하기도 했다.이 연구에서 피어러 교수팀은 컴퓨터 3대의 키보드에서 세균을 채집한 뒤 각 컴퓨터 소유자의 손가락에서 얻은 세균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