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원"(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2015 제1차 미래창조과학부 SW 창의캠프 손끝에서 펼쳐지는 상상의 세계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창의캠프는 올해 전국에서 10회 이상 진행될 예정이다. 초등부 참가자 김민재 학생(고양 신원초 6학년)은 “소프트웨어가 어려운 것인 줄로만 알았는데 재미있다는 걸 알게 됐다”면서 “소프트웨어 분야로 새로운 꿈을 찾고 싶다”고 웃음과 함께 참가 소감을 밝혔다. 함께 참가한 김민재 학생의 ... ...
- 범죄와의 전쟁, 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4년 04호
- 많이 팔기 위해 이 같은 자작극을 벌였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문제는 탈마의 신원기록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피 검사로는 이 피가 탈마의 것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결국 찰리가 이 혈흔을 분석하겠다고 나섰다.이 사건이 장난인지 아닌지는 ‘혈흔 분포 삼각법’으로 알 수 있어요. 탈마가 ...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하는구나’라고 알아차린다. 이어 전후 상황과 맥락을 파악해 ‘눈앞에 있는 사람의 신원을 알아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고, 곧바로 개인 클라우드에 접속해 주인이 과거 만났던 사람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한다. 이제 남은 일은 이 사람의 이름과 만난 시간, 장소, 함께 나눈 대화 등을 눈 앞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하지만 베테랑 수학 판사 나해법은 수상한 검사에게 주의를 주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신원 확인 수단으로 활용하는 정확도 99.999%의 유전자 검사에 무슨 문제라도 있는 걸까?문제는 0.001%에 있다. 즉, 10만 번 검사했을 때 한 번은 잘못된 결과가 나올 수 있다는 말이다. 만약 피고가 사는 지역 주민 ...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그는 “피 묻은 지문이나 도자기와 유리잔 등에 지문이 있으면, 그것으로 범인의 신원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썼다. 오늘날 범죄수사에서 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볼 때 선견지명이 있는 코멘트다.물론 폴즈의 예측이 다 옳았던 건 아니다. 그는 논문에서 “일본 사람들의 지문을 많이 ... ...
- Part3. 별 걸 다 맡아!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지닌 고유한 냄새를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채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수학동아 l2011년 09호
- 연구 일화를 소개했다.그런데 이 무서운 ‘먹물영상’ 으로 홍채패턴을 이용한 신원인식, 동공 중심을 쫓아가는 시선추적, 눈깜박임과 동공 조절을 바탕으로 한 감성인식, 홍채무늬 분석을 통한 건강진단까지 할 수 있다고 한다.그는“생각을 조금만 달리하면 기존의 것에서도 새로운 특징을 ... ...
-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불합격을 받는 경우가 많은가?3차 전형은 신체검사, 체력검사, 면접, 인성검사, 신원조회를 실시한다. 모두 적부 판정제다. 신체검사에서는 색약, 고혈압, 중이염 등으로 불합격하기도 한다. 체력검사는 오래달리기(남 1.6km, 여 1.2km), 팔굽혀펴기 등 총 6개 종목을 실시한다. 기준 점수에 못미치거나, ...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과학동아 l2011년 06호
- 銘旌)을 벗겨내고 있다. 명정에는 죽은 사람의 관직이나 본관, 성이 적혀있어 미라의 신원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회곽묘 있는 곳엔 미라가 있다‘쿵~. 쿵~.’ 포크레인으로 몇 번을 내려쳤다. 워낙 단단하게 굳어 있어서 열릴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수 차례 더 두들기고 나서야 ... ...
- Part 1. 과학이 낳은 명탐정 홈즈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됐다. 한국은 ‘개인정보 유출’을 염려하는 목소리에 밀려 지난해 7월이 돼서야 ‘DNA 신원확인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DNA법)’이 국회에서 통과했다. 국과수에서도 살인이나 강간, 아동폭력 등 11개 주요 범죄자의 DNA형을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고 검색해 연쇄강간범 등 수많은 미제사건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