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재가 행복하려면?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논문을 쓰고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 데 집중했어요. 저녁 8시까지 퇴근하지 않고 계속 연구실에 있었죠. 지금도 계속 공동연구를 하고 있지만, 대부분 멋진 문제를 발견하고 잘 풀 것 같은 사람에게 넘겨줍니다. 다른 연구자가 문제를 풀 때 도울 방법을 제안하지요. 이번에도 서울대학교에서 류경석 ... ...
- [5년 후, 과학은] 하늘까지 자율비행하는 미래 열까, 객체탐지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보장 등 연구 환경의 측면에서 보면 해외가 조금 더 앞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연구실의 경우엔 현대자동차와의 협업으로 지속적인 연구 성과를 내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기술 경쟁의 일선에서 헌신 중인 여러 연구자에 대한 응원과 지원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비단 눈에 보이는 지원뿐만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생각해야 하는데 그게 익숙해지니까 나중에는 질문이 4, 5개씩 쌓여서 따로 교수님 연구실로 찾아가기도 했어요. 그러다 2학년 2학기에 미니코지 교수님이 “다인아 내가 재미있는 해석기하학 문제가 하나 떠올랐는데 네가 할 수 있을 것 같아. 해볼래?”라고 메일을 주셨어요. 결국 그 문제를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교수를 만나기 위해서다. “지난 일주일간 너무 바빴다”며 회의를 마치고 막 연구실에 도착한 이 교수에게 바로 지금, 서울대에서 진행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연구에 대해 물었다. ▲2023년 7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한 Herbig-Haro 46/47. Herbig-Haro 46/47은 형성된지 겨우 수천년 된 원시별이다. ... ...
- 항저우 아시안게임 정식 종목 E스포츠, 국가대표 훈련 어떻게 받을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한국스포츠과학정책원 3층 차세대스포츠과학지원센터 연구실로 데려갔다. 그리고는 연구실 한 켠에 있던 요상한 안경을 건넸다. 전면에 카메라가 있고 안경 알에는 검은 점과 선들이 있는 아이트래커였다. 아이트래커는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해 사용자가 무엇을 바라보는지를 확인하는 기구다. ... ...
- [5년 후, 과학은] 탄소중립으로 가는 확실한 지름길 수전해 수소 생산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통한 연속적인 전자전달 흐름을 활용해 적은 에너지로 생체연료를 합성합니다. 저희 연구실은 이 원리를 모방해 전자가 이산화탄소 안으로 주입된 뒤 전자전달 매개체를 거쳐 다시 빠져나와 연속적으로 용액에 유입되면서, 합성연료인 디메틸카보네이트를 생산하는 새로운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 ...
- [통합과학 교과서] 손끝으로 읽는 점자책을 만들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시각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과학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열심히 해보죠.”연구실에 있는 모두가 꿀록 탐정의 이야기를 듣곤 한마음으로 외쳤어요.“심청재단, 가 보자고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히스톤을 표현한 것이다. 발생 위치, 크기, 성장 속도달라도 너무 다른 암 정 교수의 연구실에서는 암 후성유전학을 바탕으로 뇌종양 치료제 개발에 단초가 될 물질을 찾아낸다. 후성유전학이란 DNA의 염기서열 변화 없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가령 DNA가 같은 일란성 ... ...
- 가짜 세상을 만드는 기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컴퓨터의 시대는 메타버스로의 전환을 이끌어낼 수 있을까. 7월 7일 광운대 공간 컴퓨팅 연구실에서 만난 권순철 광운대 스마트융합대학원 정보융합시스템학과 교수는 “메타버스는 기술적 개념보다는 철학적 개념”이라면서 “최근 들어 메타버스를 만드는 기술의 개발 주기가 빨라진 것은 ... ...
- [디지스트 융복합파트너] 행동 제어 스위치 찾아 뇌질환 치료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심거나 삭제할 수 있죠.” 현 교수는 영화 ‘인셉션’에서나 일어날 것 같은 일들을 현재 연구실에서 실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에서 박사후과정을 밟던 시기인 2017년, 현 교수는 청색광과 칼슘을 이용해 특정 행동 시 활성화되는 신경세포를 정확하게 표지(label) 할 수 있는 기술인 ‘캘라이트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