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실"(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진화의 땅에 발령된 호기심 전염주의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마칩니다. 애독해 주신 독자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이세인 이화여대 행동생태연구실 영장류 연구팀 소속으로 스위스 로잔대 방문 연구원을 거쳤다. 현재 영장류 인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seinlee20@gmail ... ...
- 빛, 전기, 세포외소포체… 상처를 치료하는 n 가지 방법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 빛으로 상처를 봉합하는 게 왜 획기적일까. 5월 2일 포스텍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 연구실에서 만난 한 교수는 “일반적으로 찢어진 피부가 회복되는 데는 2주 이상이 걸린다”며 “빛을 이용하면 피부가 하루 이틀 안에 붙을 수 있고, 외부 세균이 들어오지 못해 감염 가능성도 작아진다”고 ... ...
- [논문탐독] 미래 우주로 향하는 로켓 추진체, Alice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높일 수 있어 더 얇고 가벼운 로켓이 가능해집니다. 역시 Alice의 장점이죠. 연구팀은 연구실에서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Alice 로켓 모터를 만들어 크기에 따른 성능도 비교했습니다. 작은 시제품에서는 성능이 좋아도, 현실의 실제 크기로 만들면 성능이 크게 저하돼 실용화가 힘든 경우도 많기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설명했습니다. 대체육을 연구하는 3D 프린터였습니다. “한 번 드셔 보시죠.” 이 교수는 연구실에서 개발한 한 입 크기의 정육면체 대체육 덩어리를 버터와 함께 달궈진 프라이팬에 올렸습니다. 기자의 인생 최초 배양육 스테이크 시식이었습니다. 향을 입히지 않아 고기 맛은 나지 않았지만, 입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금도 기억나요. 여름방학엔 친구들과 함께 여고생 물리 캠프에 참가했어요. KAIST의 연구실에서 조교님의 도움을 받아, 파란 색소가 없는 모르포나비의 날개가 왜 파랗게 보이는지 광결정에 대한 실험을 했어요. 여학생이 적은 과학고에서도 물리를 좋아하는 친구는 더 드물어요. 서울에서 ... ...
- [오늘부터 우리는! 행복한 동물원] 동물을 보러 동물원 가도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문제가 아니라 과학의 대상이에요. 동물복지 과학자들은 반려동물을 비롯해 농장, 연구실, 동물원 등에서 인간이 관리하는 여러 동물에 대한 복지를 조사하고 평가한답니다. 과학으로 발전하는 동물복지 초기 동물복지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고통스럽지 않게 살도록 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196 ... ...
- [디지스트] 골칫덩이 탄소를 연료로 만드는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 기사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 (DGIST)의 제작지원을 받았습니다. 탄소는 오늘날 지구에서 가장 ‘핫한’ 원자다. 탄소가 포함된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기후변화를 ... 순배출 제로(0)’를 만들겠다는 전 세계인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신재생 에너지 변환 소재 연구실이 앞장서고 있다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뢴트겐이나 퀴리 부부의 작업과 3권의 오펜하이머의 그것을 비교해보자. 작은 규모의 연구실에서 미지의 물리학 세계에 대한 발견을 하나하나 쌓아갔던 뢴트겐, 퀴리부부의 연구와 전 세계의 무수한 석학들과 그들의 연구를 한곳에 모아 세계의 운명을 좌우할 핵무기를 개발해야했던 오펜하이머의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민들레 씨앗이 수 km까지 날아가는 원리를 이용해, 바람을 타고 날아가는 소형 비행체를 개발한 사람. 각기 다른 줄무늬 패턴으로 얼룩말을 구분한다는 점에 착안해, 디지털 인증보안 기술을 개발한 사람. 창의적이고 신선한 아이디어로 꾸준한 성과를 올리고 있는 주인공은 김봉훈 대구경북과학기 ... ...
- ‘기적의 다이어트약’ 출시, 이번엔 진짜 기적 맞아?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물어봤습니다. 최장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과 교수는 “많은 제약회사나 연구실에서 비만 치료의 새로운 타깃을 발굴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며 “더 개선된 신약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예를 들어 지방세포 자체를 리모델링 하는 방식이 현재 연구되고 ... ...
이전45678910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