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질
음빛깔
소리맵시
소리
음조
d라이브러리
"
음색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담은 이른바 '제너럴 미디' (General MIDI)가 지원되는 웨이브테이블이라면 1백28개의 악기
음색
을 롬에 저장해놓았다 16비트 음성 기능이 '과학동아'라고 램에 녹음을 했다면 똑같이 '과학동아'라고 재생해 내는 기능인데 반해, 웨이브테이블은 롬에 이미 저장된 소리를 원래대로 재생하거나 음정의 ... ...
목소리의 기술 살리고~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부분인 인두강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남성이 여성보다 인두강이 굵고 넓어 남자다운
음색
을 띤다. 사람마다 인두강의 길이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아무리 성대모사를 완벽하게 한다고 해도 두 사람의 목소리는 완전히 똑같을 수는 없다.더군다나 목소리는 한 가지 진동수가 아니라 기본 진동수의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당시 김청기 사단의 김벌래 선생이 참여했다. 그들의 노력으로 모든 테마곡은 고유의
음색
과 음율을 갖춘 독창적인 곡이 됐다. 아쟁과 징을 비롯해 최대한 한국 고유의 악기에서 얻어낸 음악은 일본과 미국은 물론 어느 나라 작품에서도 들을 수 없는 것이었다. 많은 이들이 태권V를 고유한 문화적 ... ...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온라인에서는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제스처나 시선 접촉, 복장, 얼굴 표정,
음색
, 대화 당사자의 몸집이나 환경 정보 같은 사회적 맥락을 나타내는 단서들이 극히 제한돼 있거나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 당사자들이 주의를 기울이는 초점이 대화의 상대방이 아닌 ... ...
우리 문화재를 지킬 피리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파동의 모양에 따라 달라진답니다. 같은 도 음을 내도 사람마다 소리가 다른 이유는 서로
음색
이 다르기 때문입니다.큰 소리를 내고 싶다면호루라기가 최고야!신호를 보내려면 큰 소리가 필요하겠지? 큰 소리를 내려면 호루라기가 최고야. 그래서 운동 경기에서나 교통경찰들도 호루라기를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음악의 크기가 자동으로 줄어든다. 손에 금속성의 물체가 닿으면 음악도 곧 차가운
음색
으로 바뀐다. 아직 소리의 도시 연구는 초기 단계다.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도시를 돌아다니는 사람에게 청각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특히 음악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한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담은 이른바 '제너럴 미디' (General MIDI)가 지원되는 웨이브테이블이라면 1백28개의 악기
음색
을 롬에 저장해놓았다 16비트 음성 기능이 '과학동아'라고 램에 녹음을 했다면 똑같이 '과학동아'라고 재생해 내는 기능인데 반해, 웨이브테이블은 롬에 이미 저장된 소리를 원래대로 재생하거나 음정의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노’(No)라고 말하자 라디오가 아예 꺼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음성인식장치가
음색
이나 음의 강도 등으로 운전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비록 시범연출이었지만 SF영화에서 봄직한 장면이었다.프로젝트 빌딩의 옆 건물로 자리를 옮기자 ‘청정에너지’(Clean Energy)라고 쓰여 있는 자동차가 ... ...
첨단 음향 기술과 현대 건축이 되살린 한국의 소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2현의 가야금은 청아하고 부드러운
음색
으로 오늘날 가장 대중적인 국악기로 꼽힌다. 손끝의 미세한 움직임을 타고 도는 단아한 소리와 아름다운 선율은 바쁜 일상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왠지 모를 향수를 안겨준다. 조용한 음악당 안을 흐르는 가야금 산조의 가락만큼 격조와 감동을 동시에 ... ...
물리학이 밝혀낸 편경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다른 것도 같은 원리다. 한편 피아노의 건반처럼 편경의 16개 경석도 음높이만 다를 뿐
음색
은 비슷하다. 그렇다면 경석의 기본진동수와 조화진동수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어 편경의 소리로 들리는 것일까. 필자는 푸리에 변환 분석을 통해 정말로 그렇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즉 첫번째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