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질
음빛깔
소리맵시
소리
음조
d라이브러리
"
음색
"(으)로 총 97건 검색되었습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
과학동아
l
2024년 02호
Dynamics)’을 AI 최고의 학회인 AAAI에 2023년 12월 발표했다. 이는 악기의 주법에 따라 변하는
음색
과 음량을 미세한 수준으로 표현한 데이터 세트에 관한 연구로, 미세한 셈여림 정보를 학습하면 인간이 연주한 듯한 섬세한 곡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음악 생성 AI의 데이터 세트가 대체로 음표 수준의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10호
신호를 대뇌로 전달한다. 귀와 대뇌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음의 높이, 크기와
음색
정보가 모두 전달되며 이러한 청각 정보는 뇌간에서 무의식적으로 24시간 내내, 심지어 자고 있을 때도 처리된다.지각・인지: 전기 신호가 드디어 음악으로 뇌간을 거친 전기 신호는 시상을 거쳐 귀 ... ...
[헷갈린 과학] 막대를 두드리면 맑은소리가~♪ 실로폰 VS 마림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4호
수 있어요. 톤바 길이도 실로폰보다 대체로 더 깁니다. 그래서 실로폰은 날카롭고 명확한
음색
을 내지만, 마림바는 실로폰보다 음역이 더 낮으며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따뜻한 소리를 내요.현재 마림바는 아프리카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 널리 퍼져 쓰이고 있어요. 오케스트라 연주뿐 아니라 각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 위이잉~♩” 소리가 참 아름답지 않아? 고운
음색
의 주인공은 바로 전동칫솔! 나 마이보는 양치할 필요가 없지만, 노래 부르는 칫솔이라면 하나쯤 갖고 싶은걸? 세계에서 가장 긴 고양이와 마인크래프트 미니어처 만들기 영상도 준비했으니 확인해 봐! 전동칫솔이 부르는 조회수 : 6.2만 ... ...
[킹앤포] 악기마다
음색
이 다른 이유는?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
[특집] 수백억 원의 명품 바이올린, 그 비결은 사실 살충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23호
이혜란 기자약학상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를 꿈꾸나요? 그렇다면 살충제부터 준비해 보세요. 바이올린의 명가 ‘스트라디바리우스’의 화려한
음색
... 꽁꽁 숨겨 왔을 것이라 추측했답니다. 수백 년간 많은 사랑을 받아온 명품 바이올린
음색
의 비결이 ‘살충제’였다는 점, 정말 뜻밖이죠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가볍기 때문이에요. 성대 속 공기가 가벼워지면 소리가 더 빠르게 진동하거든요. 그 결과
음색
이 도널드 덕처럼 얇아지는 거지요.그런데 과연 ‘원래의 목소리’라는 게 있을까요? 우리가 평소에 듣는 목소리는 지구 공기의 질량에 따라 정해진 목소리예요. 이렇게 생각한다면, 원래의 목소리를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쓰나요?여러 가설 중 하나는 사투리를 통해 소속감을 확인하기 위해서예요. 서로의
음색
과 톤을 확인해 가족인지, 적인지를 확인하죠. 두 번째는 영역을 지키기 위해서예요. 집단의 대화 유형을 알아야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요. 세 번째는 건강한 후손을 낳기 위해서예요. 일부 새의 종 암컷은 그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육식동물의 이빨이 퓨라의 살에 박히고 가죽을 찢을 때마다 퓨라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음색
과 선율이 절묘하게 바뀌었다. 여전히 황홀한 음악이었다.그 모습을 보던 이새는 멀미를 느꼈다. 눈에 보이는 광경과 귀에 들리는 소리가 너무나도 이질적이었다. 아름답게만 상상했던 진실은 이새를 ... ...
[한페이지 뉴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 소리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캐럴 프리츠 CNRS 선사시대예술연구센터장은 “깊고 독특한
음색
을 가졌던 나팔고둥은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구석기 사회의 음악 활동을 새롭게 조명한다”고 말했다. doi: 10.1126/sciadv.abe951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