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도체"(으)로 총 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여기에 단열 및 방사선 내성 효과를 지닌 섬유층을 더하고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초전도체, 호흡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미세칩을 더하면 지금 우리가 입고 있는 초경량 우주복이 완성된다.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생명유지장치도 소형화해, 등에 매고 운동을 해도 별로 ...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얇은 절연체를 끼운 소자다. 원래는 절연체 때문에 안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야 하지만, 초전도체에서는 터널링이라는 양자역학적 현상 때문에 전류가 흐른다. 전류는 두 개의 전자가 쌍을 이루는 ‘쿠퍼쌍’이라는 형태로 흐르는데, 이 쿠퍼쌍이 양자정보를 유지하고 전달할 수 있다. 이 정보를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또 자연계의 모든 원소와 이들의 구조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가능해지면서 반도체, 초전도체, 레이저, MRI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됐다. 현대 화학과 분자생물학 등 새로운 연구 분야도 가능해졌다.초미시세계의 궁극적인 단위 물질, 즉 쿼크와 이보다도 작은 초끈에 대한 탐구도 이어지고 있다.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8호
- #1빗물 받아 지하수로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니 물을 절약하자는 공익광고와 매년 되풀이되는 여름철 홍수 피해 뉴스는 서로 모순이라는 생 ... 말했다. 현재 정 교수는 냉동기 탑재형 초전도 모터 상용화를 목표로 내구성 문제, 초전도체 수급 문제등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전기저항이 0이 된다." 이 단순해 보이는 현상 하나가 세상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지난 100년 동안 초전도 현상을 실생활에 응용한 기술이 꾸준히 개발돼 ...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세상에 처음 알려진 지 100년이 지났지만 초전도 현상은 여전히 물리학자들에게 만만한 상대가 아니다. 다양한 초전도 물질, 때로는 예상을 뛰어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래를 ‘공중 부양’ 시킬 수 있을까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 ...
- 한국의 인공태양, 세계의 태양으로 뜨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값에 비하면 수백분의 1에 불과하다.아이디어는 좋았다. 하지만 세계 어느 곳에서도 초전도체를 사용해 토카막을 만들어본 적이 없었다. 권면 국가핵융합연구소 KSTAR운영사업단장은 “초전도 자석에 대한 이해도 부족했던 당시 핵융합에 필요한 대규모의 초전도 자석을 만든다고 하자 논란이 ... ...
- Intro. 노벨상 예약한 수상한 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1년 01호
- N극과 S극이 따로 존재하는 모노폴은 물리학의 ‘상식’을 벗어나 있다. 초유체, 초전도체 등 과거에등장한 수상한 물질들은 여러 차례 노벨상의 영예를 안았다.흥미롭게도 초고체와 다강체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발견했거나 발전을 이끌고 있다. KAIST 물리학과 김은성 교수는 지난 2004년 초고체의 ...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사라진 결과고, 초전도체는 보존인 전자쌍이 BEC가 되면서 전기 저항이 사라진 결과다. 초전도체 전자쌍의 BEC는 1972년, 기체의 BEC는 2001년, 3He(원자핵이 양성자 둘, 중성자 하나로 이뤄진 헬륨의 동위원소)쌍의 BEC는 1996년, 2003년 각각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들의 주장이 맞다면 액체, 기체에 이어 .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것이 알려졌다. 이후 유기 및 고분자 재료는 절연체, 반도체, 전도체뿐만 아니라 초전도체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의 전도도 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됐다. 또 생분해성 고분자로부터 강철보다 강하면서도 가벼운 초강력 섬유나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게 됐다.필자는 이러한 고분자의 다재다능함에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