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않았다. 2024년 현재 324개의 페르마 수가 합성수라는 게 밝혀졌으며 매년 수학자들이 조금씩 더 찾아내 끊임없이 페르마의 추측을 공격하고 있다. 페르마 수에 관한 풀리지 않은 문제도 여전히 있다. 목사를 꿈꿨던 수학자 페르마의 소정리를 증명하고 페르마 수의 반례를 찾아낸 오일러는 ... ...
- Part1. 휴머노이드 로봇 AI로 ‘퀀텀점프’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파악하고 여기에 적합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컴퓨터공학 지식이 필요한 지점이다.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가보자. 전신제어를 하기에 앞서 현재 몸의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팔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팔짱을 끼고 있는가? 자연스럽게 늘어뜨리고 있는가? 이 위치를 알아야 관절을 얼마나 어떻게 ... ...
- [커리어] 과학과 의학 그리고 꿈이 만나는 현장, IBS 나노의학 연구단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플라스크 속 액체는 환원제를 넣고 끓이니 색이 점차 변했다. 금나노 씨앗입자가 조금씩 성장하며 나타나는 변화였다. 아주 작은 와인색 금 입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진단하는 기술로 발전하기도 한다. 2020년, IBS 나노의학 연구단은 자석에 금을 코팅한 하이브리드 나노입자를 ... ...
- [SF소설] 더 마더(THE MOTHER)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헬멧을 내 머리에 씌웠다. 그러더니 아무렇지 않게 기계로 걸어가 조작하기 시작했다.“조금 어지러울 거야.” 제임스가 자신도 헬멧을 착용하며 말했다. 그는 지체 없이 스위치를 눌렀고, 곧바로 기계가 굉음을 냈다. 머리를 조이던 헬멧에서 열기가 느껴지더니, 그대로 정신을 잃었다. 2175년우리는 ... ...
- 포장의 달인 소시지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소시지 모양과 벌집 모양의 경계가 있다는 사실만 알 뿐이다. 5차원부터는 그 내용이 조금 다르다. 만약 페예시 토트의 소시지 추측이 사실이라면 5차원 이상일 때는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벌집 모양을 나눠 계산할 필요도 없고, 거기에 사는 사람은 언제든 고민 없이 소시지 모양으로 선물을 ... ...
- 치킨은 피보나치 수로 주문하자!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다. 한 사람당 반 마리 정도 먹는다고 생각하고 시킬지, 다른 야식과 함께 먹을 거니 조금만 시킬지, 남으면 내일 먹어도 되니 넉넉하게 시킬지 등 여러 안이 떠올라 주문하기 전에 망설이게 된다. 의견을 구하고자 인터넷을 찾아보니 정체를 알 수 없는 서울대학교 학생이 이 문제를 명쾌하게 ... ...
- 보행자가 된 로봇 같이 걸으실래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할 미래를 과학동아가 조금 먼저 만나봤습니다. 로봇과 함께 걷는 미래를 과학동아가 조금 먼저 만나봤습니다. “주문이 접수됐습니다. 픽업 장소로 출발합니다.” 애플리케이션에서 ‘아메리카노 4잔’ ‘주문’ 버튼을 누르자, 경쾌한 알림음과 함께 ‘개미’가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개미는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과학자가 각자 그리는 동그라미가 아주 조금 겹쳐 있다. 벤 다이어그램 속 이 부분집합은 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이공계 박사학위를 취득한 ‘의사과학자’들의 자리다. 의사과학자들은 누구이며,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세 명의 의사과학자를 만나 그 이야기를 들어봤다. 화학 영재가 의대에 ... ...
- 사랑은 변한다! 러브-어페어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시작하면 그 감정이 영원할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 식기도 하고 다시 불타오르는 등 감정 변화를 겪는다. 이런 감정 변화를 미국의 수학자 스티븐 스트로가츠가 시간에 대한 변화를 설명하는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냈다. 일명 ‘러브-어페어’ 방정식이다. 그는 영국의 극작가 윌리엄 ... ...
- 파인만도 못 푼 스파게티 미스터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자유로워지면, 다시 곡률이 낮아지며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그런데 스파게티 면은 조금 달랐다. 스파게티 면은 오히려 부러지는 순간 반대쪽이 더 심하게 휘었다. 원래 구부러졌던 정도보다 훨씬 곡률이 커지면서 반대편도 한계점을 넘어버린 것이다. 한쪽을 자르면 반대쪽도 부러져버리니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