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광학"(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7월호] 로봇 구조대원이 원전폭발 막는다기사 l20150706
- ‘변신 기능’을 넣었다. 시각처리 능력이 극도로 좋아진 것도 이번 모델의 자랑거리다. DRC휴보Ⅱ의 머리에는 레이저 스캐너와 광학카메라를 모두 달아 흐리거나 햇빛이 강한 날에도 문제없이 앞을 볼 수 있다. 여기에 권인소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시각처리 프로그램을 이식해 휴보가 카메라와 레이저로 주변을 촬영하면서도 데이터를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0331
- 2021년부터 거대망원경 ‘GMT(Giant Magellan Telescope)’가 가동을 시작해요. 지난 호 특집 기사를 본 친구들이라면 이 망원경 제작에 우리나라가 참여했다는 걸 잘 알 거예요. 그런데 GMT에 들어갈‘반사경’도 우리나라에서 만든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본 기사는 아래 PDF보기 또는 '명예기자'코너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과학뉴스] 우주에서 쓰레기 청소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915
- 미국의 항공우주장비제조사인 ‘록히드마틴’이 호주의 광학기술업체인 ‘일렉트로 옵틱 시스템스’와 함께 우주쓰레기를 청소하기로 했어요. 우주쓰레기는 사람이 만든 물건이 우주를 떠돌아다니는 것을 말해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8호(2014년9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미래의 로켓아, 우주로 가라! 순수 우리기술로 만든 2040년의 모습은?기사 l20140802
- 사는 모습, 건물들의 변화 모습 등을 감시하는 활동을 합니다. 위성마다 특징이 있는데 2012년에 발사한 아리랑3호에는 초고해상도 광학카메라가 있어 지상에 있는 자동차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영상이 선명합니다. 2013년에 발사한 아리랑5호에는 합성영상레이더(SAR)가 있어 구름이 많이 끼거나 태풍이 불어도 건물의 높낮이나 건물 안에 무 ...
- KAIST-1 7층- 뇌질환 연구/ 간질- 발작 뇌의 한쪽이 크거나 파란색의 반점이 있다포스팅 l20140725
- 동결 절편기: 칼로 조직을 얇게 썰어서 20마이크로 (0.001mm)정도 크기로 잘라야 한다. 양성과 악성을 알 수 있다. 영하 20도로 얼린다. 광학 현미경: 세포를 색칠 할 수 있다. 하지만 바이러스는 너무 작아서 전자 현미경으로 봐야한다. 4층- 면역: 우리 몸에서 자체적으로 방아 하는 것 사람의 몸에서 어떻게 하면 면역이 강해지는지? ...
- 카메라의 기원 카메라의 기원의 대해기사 l20140324
- 아니었다. 이 카메라는 1839년 파리에서 시판되었습니다.한편 게른샤임에 의하면, 다게레오타입 카메라가 공표되기 2개월 전 영국의 광학기계상 웨스트가 대중용 카메라의 매출광고를 냈는데, 이 카메라는 톨벗이 발명한 칼로타입입니다. 다게레오타입 카메라의 렌즈는 발표 당시 성능이 좋지 않았으므로 더욱 밝고 예리한 렌즈의 요구가 높아져서 빈의 페츠발 ...
- 꼬마 천문학자들의 천문대 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00430
- 두근두근~, 드디어 우리가 손꼽아 기다리던 그 날이 왔어. 무슨 날이냐고? 우주를 보는 ‘거대한 눈’을 만날 수 있는 날! 바로 보현산천문대에 있는 한국 최대 광학망원경과 태양망원경을 만날 수 있는 날 말이야. ...
- 쌍둥이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090313
- 블랙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 근거를 둔 것으로, 우주의 신비를 품고 있는 중요한 연구대상이에요. 최근 미국국립광학천문대(NOAO) 연구팀이 지구로부터 5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쌍둥이 블랙홀을 발견해서 화제가 되고 있어요. 연구팀은 남부 뉴멕시코에 있는 망원경을 통해 관측된 자료를 이용했어요. 1만 7500개의 퀘이사들 사이에서 쌍 ...
- 유럽우주기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테라사-X {tIMG_c10} 2007년 6월에 발사된 위성으로, 1m의 해상도를 가진 최첨단 레이더 장비가 달려 있다. 광학 카메라가 달린 인공위성은 몸체 자체를 움직여야 원하는 지역을 촬영할 수 있지만, 테라사-X는 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100㎞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레이더 위성이기 때문에 날씨에 상관없이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정하는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어요. 그 중에는 실리콘 원자의 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위해 호주 정밀광학센터에서는 순수한 실리콘으로 이뤄진 구를 만들었어요. 이 구는 표면의 거칠기가 0.3㎚ 이하로, 현재까지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구라고 하네요. [소제시작]다시 살아 숨쉬는 태안의 생태계[소제끝] 검은 기름으로 뒤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