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진"(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 43명만 지니고 있는 혈액형, Rh null기사 l20210105
-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사람들은 1년의 두 번씩 피를 저장하죠. 그럼 이혈액형에는 왜 항원이 없을까요? 그 이유는 뉴욕 연구진들의 결과의 따르면 rh유전자 서열 중 GTT가 ATT로 변하거나 ATTGGARK ATTAGA로 변해 전혀 다른 아미노산이 생성되어 RH항원 단백질이 생산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러니 DNA의 작은변화가 가 ...
- 세상에서 가장 희귀한 혈액형은 뭘까?기사 l20210101
- 혈액형의 적혈구엔 항원이 하나도 없는 걸까요? 그 원인은 놀랍게도 DNA의 염기서열의 아주 작은 변이에 있습니다. 뉴욕 혈액 센터 연구진들이 밝혀낸 바에 따르면 Rh 항원읠 결정하는 유전자 서열 중 GTT의 G가 아네닌(A) 염기로 변이가 되거나 (GTT→ATT) GGA의 염기 중 G가 A로 지환되는 (GGA→AGA) 점 돌연변이로 인해 전 ...
- 왜 낙지의 다리는 잘려도 꿈틀댈까 ?기사 l20201105
- 뇌를 분리한 뒤 다리에 전기 자극을 주고 변화를 관찰했더니 ,살아있을 때와 똑같이 문어다리가 유연하게 움직였어요 .이를 통해 연구진들은 문어의 다리가 독립적으로 만들어 낸다는 결론을 내렸죠 .결국 ,머리가 잘려도 문어(낙지)다리는 신경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거예요 . 또 ,간장이나 고추장 같은 양념장에 넣었을 때 낙지다리가 움 ...
- 플라잉V 그게 뭐지?기사 l20201009
- 어떻게 했냐면... 날개를 v자로 만들어서 공기의 저항을 덜 받고, 연료를 적게 사용하는 모양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플라잉V 연구진은 "(생략)기존 비행기보다 연료를 20% 줄일 수 있는 것을 기대한다'고 하며 2040년에서 2050년 사이에 실제 크기의 플라잉V(플라잉V는 소형 실험에 성공함.)가 비행하는 걸 목표로 개발 중"이락 했답니 ...
- 세상에서 가장 매운 고추 TOP 3!기사 l20200913
- 248만 스코빌이라고 합니다. (출처:https://www.ytn.co.kr/_ln/0134_201705191730069097) 이 고추는 마이크 스미스가 8년 동안 노팅엄 트랜트 대학교 연구진과 만들었다고 합니다. 사람이 먹으면 쇼크로 사망할 수 있다는 경고문이 있습니다. 이 고추는 강력한 농약으로 쓰거나, 기존의 마취제가 통하지 않는 사 ...
- 어둠속에서 빛나는 야광식물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00910
- 스스로, 자연적으로 빛을내는 유기체를 연구했는데, 그 유기체의 종류에는 곤충과 버섯, 해양생물들이 포함되어요. 국제 과학 연구진들은 자연적으로 빛을 발산하는 버섯에서 DNA를 재취하여 그 DNA를 '담배식물'에 주입하였답니다. 빛을 발산하는 버섯의 DNA를 받은 담배식물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 결과는 성공적이었어요. 그 담배식물은 MIT 과 ...
- 상어에 붙어있는... 빨판상어 로봇?!기사 l20200909
- 2. 빨판상어 로봇에 대한 설명 그러면 본격적으로 빨판상어 로봇에 대해서 살펴볼까요? 빨판상어 로봇은 중국 베이징대학의 리 웬과 연구진이 수중 연구를 위해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로봇의 크기는 한 13cm정도 됩니다. 빨판상어의 흡착판을 본따 로봇을 만든 이유는 바로 기존 동물의 흡착판이나 발을 본따 만든 로봇은 수중에서는 효율이 떨어졌지만 ...
- 토성의 고리가 사라지고 있다?!기사 l20200630
- 상징과도 같은 고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충격을 주고 있어요. 미국 항공 우주국 고더드우주비행센터 연구진은 토선 탐사선 카사니 호의 마지막 임무인 그랜드 피날레(카사니 호가 최후의 임무로 수행한 토성과 고리 사이에 2400 ㎞의 틈새를 22번이나 드나드는 고난도 비행)의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 토성 북반구와 남 ...
- 수소만으로 이뤄진 대기에서 생명채가 산다?!기사 l20200509
- 연구에 가속도가 붙고 있습니다. 연구를 진행한 곳은 그동안 다른 행성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프로젝트를 진행해온 미국 MIT 연구진 입니다. 병 속에, 각종 가스들을 넣고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미생물이 나오는 것입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양 성분이 보충된다면, 수소만으로 생명체가 살아갈 수 있음을 말해주는 것입니다. 긴 기사를 짧게 ...
- 코로나19(COVID-19)란?기사 l20200430
- 신종플루 유행 이후, 처음으로 WHO가 판데믹을 선포한 질병입니다. 도대체 코로나19란 무엇일길래 이렇게 사태가 심각할까요? 현재, 연구진들은 코로나19의 원인인 바이러스, SARS-CoV-2가 2003년에 유행한 사스의 병원체, SARS-CoV의 아종이라고 생각합니다. 정확히는 SARS-CoV-2는 SARS-CoV의 변종이 아닌, 형제뻘이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