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연구진"(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크리스마스에 대한 재미있는 연구들!기사 l20171201
- 모두 나누어줘야 합니다. 한 교수는 '산타가 판단력이 흐려져 엉뚱한 실수를 하거나 선물을 잘못 나누어줄 수 있다' 고 하였고, 한 연구진은 산타에게 당뇨병과 고혈압을 주의하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건강하시지요. 자, 그렇다면 산타만의 건강비결은 무엇일까요? 첫째, 지붕을 오르락내리락 하는 등의 유산소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였습니다. 둘 ...
- [지구사랑탐사대] 중요 공지! 탐사물품 배송을 신청 받습니다!공지사항 l20170412
- 시작되기 전 작년부터 활동한 대원들이 열심히 탐사기록을 올려주고 있습니다! 현장교육 신청도 굉장히 빠르게 마감됐어요. 연구진과 최대한 많은 교육 일정을 정하였음에도 현장교육 신청을 못하신 분들이 있어요. 이 점은 다시 한 번 양해 부탁드립니다. 현장교육에 가지 못하면 탐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걱정하는 분들이 많아요. 가이드북과 영상, 이 ...
- 탐사지도 모바일 추가 - 지구사랑탐사대가 달라졌다! 새로운 기능을 확인하세요!공지사항 l20170330
- 글을 작성할 때 '궁금해요' 네모 박스를 클릭하면 게시글에 녹색 물음표가 보여요. 녹색 물음표가 있는 게시글은 지구사랑탐사대 연구진과 운영진이 수시로 확인하고 댓글을 남길 거예요. 대원들도 물음표가 붙은 게시글을 본다면, 열심히 댓글을 달아주세요~! 곧 어과동 TV에 지구사랑탐사대 코너도 생긴답니다~! 발대식에 참석하지 못하는 친구들도 걱정 ...
- 내가 가장 좋아하는 양자역학 part 1 - 나도 벽을 뚫고 지나갈 수 있다?기사 l20161205
- 아니 몇 경 번 오르락내리락하면 골프공이 벽면을 뚫고 밖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캐나다, 중국, 일본 국제 연구진은 양자상태의 광자를 14.7km 떨어진 곳으로 순간 이동시키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여러분도 미래에 터널링을 이용해 벽을 통과해 보세요 ... ...
- 태양계의 새 얼굴, 9번째 행성은 있을까? 9번째 행성! 그것이 알고싶다!기사 l20160329
- 왜행성으로 밀려났습니다. 그리고 우리 태양계는 8개의 행성이 됐지요. 그런데 지난 1월 20일, 마이클 브라운 외 1명의 연구진이 planet9, 즉 9번째 거대행성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왜일까요?위의 사진을 참고하여 보시길 바랍니다.6개의 작은 천체가 타원형의 궤도를 돌고있는데, 9번째의 태양계 거대 행성이 없다면 저런 궤도를 그릴 확률이 ...
-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101년만에 확인 세계적인 과학자 알베르포스팅 l20160215
- 15개국 과학자 1000여 명이 참여한 공동 연구단체가 진행했다. 이형목 서울대 물리 천문학부 교수가 단장인 한국중력파 연구 협력단 연구진 14명이 라이고 실험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됬다. 이것은 신문에 나온 기사인데 넘 놀라서 포스팅 합니다^ ... ...
- 도체(導體)어린이과학동아 l20150930
- 휴우…, 지구 정복이 쉽지 않아. 아무래도 지구인들의 최신 과학 기술을 훔쳐 보면 획기적인 방법이 떠오를지도 몰라. 어디 보자…, 국내 연구진이…, 도체에서 부도체로…, 도체? 부도체? 이게 도대체 뭐지? 먹는 건가? 지구 정복을 위해 도체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봐야겠군.[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9호(2015년10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
- 영화 ‘쥬라기월드’에서 ‘티라노’에 대해 숨겨진 진실 영화와 다른 티라노사우르스의 실제 모습기사 l20150819
- 티라노사우르스의 화석을 연구하다 안 사실이 있습니다. 바로 뼈의 구조가 악어보다는 새, 그 중에서도 닭에 가까운 것입니다. 그래서 연구진들은 바로 병아리의 두개골을 분석하여서 결국 닭은 공룡의 후손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처럼 실제 티라노사우르스는 쥬라기월드와 티라노사우르스의 모습과 매우 다른데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영화사에서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7월호] 로봇 구조대원이 원전폭발 막는다기사 l20150706
- 예정이다. 앞으로도 로봇기술 진전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이루길 기대해 본다. ○ 이번 대회 우승 로봇 ‘DRC휴보Ⅱ’의 모든것 이번 대회에 우승한 로봇 ‘DRC휴보 Ⅱ’는 2013년 개발한 로봇 ‘DRC휴보’의 개량형이다. 특히 이번 대회 ...
- 서천 국립 생태원 뜯어보기 나홀로 현장취재 가보다! (안뽑히면.. 나혼자 가면 된다)기사 l20150522
- 서천 국립생태원 뜯어보기 “알면 사랑한다” 이 좌우명을 가진 사람, 서천 국립생태원장인 이 사람의 정체는? 바로 최재천교수님입니다. 최재천 교수님이 세운 국립생태원, 그 속을 들여볼까요? 나저어가 들려주는 방문자쉼터 가는 길 안녕? ... 되는 것 같아요. 지금은 가지만 언젠가는 꼭 한번 더 올 거라는 걸 잘 기억 할게요. 개미세계 대탐험전까지 ...
이전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