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컴퍼스
나침의
나침판
로지
수정기
뉴스
"
나침반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1.30
나니아 연대기>, , 등 이름만 대면 알만한 미국 헐리우드 영화 속 캐릭터들은 이 분이 없었다면 탄생하기 어려웠을 거예요. 바로 카이스트 노준용 교수님! 노준용 교수님은 세계 3대 특수효과 전문회사인 ‘리듬앤휴즈 스튜디오’에서 영화에 쓰이는 여러 컴퓨터 그래픽 ... ...
‘심봉사’ 이제 눈 대신 뇌로 본다
2015.04.04
연구진은 눈먼 쥐의 뇌에 시각피질을 자극하는 전극을 2개 삽입한 뒤 머리에는 전자식
나침반
을 얹었다. 쥐의 머리가 향하는 방향이 남쪽이면 왼쪽 전극이, 북쪽이면 오른쪽 전극이 실시간으로 뇌에 전기 자극을 줘서 방향을 알려주게 했다. 이 쥐에게 ‘T’자형 미로에서 먹이를 찾아 움직이게 ... ...
한 달 만에 2290km 이동하는 바다거북의 비밀
2015.03.16
더지 연구원은 “바다거북도 새 등 다른 동물처럼 지구의 자기장과 태양의 위치를
나침반
삼아 움직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프로시딩즈 오브 더 로얄소사이어티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11일자에 실렸다.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5.02.10
만들어 금속 막대기를 움직인다는 주장도 있지만, 어림없는 소리입니다. 폭포 옆에
나침반
을 가져가면 바늘이 핑핑 돌기라도 한단 겁니까? 현재로서는 무의식적으로, 혹은 암시에 의해 손을 움직이고 그에 따라 막대기가 회전한다는 설이 가장 유력합니다. 요즘에는 정체를 알 수 없는 ... ...
대벌레에서 ‘종의 기원’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5.18
길치로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이번 주 네이처에 발표했다. 유럽울새는 몸속에
나침반
같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지구의 자기장을 인식해 움직인다. 하지만 전자파는 이 감각기관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새는 방향을 잃고 만다. 실제로 연구팀은 유럽울새 주위에 전자파를 쏘는 실험을 통해 ... ...
전자파가 철새를 길치로 만드네
과학동아
l
2014.05.11
감싸 전자파를 차단하자, 유럽울새는 방향 감각을 되찾았다. 연구팀은 “철새는 몸속에
나침반
같은 감각기관을 가지고 있어 지구의 자기장을 인식해 움직인다”며 “전자파가 새의 이 감각기관을 교란시키기 때문에 새가 방향을 잃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7일자 ... ...
흐르는 강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11.05
어둡더라도 어렵지 않게 자신의 둥지로 돌아올 수 있다. 마그네타이트가 일종의 ‘
나침반
’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비둘기 몸에 자석을 붙인 후 집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풀어놓으면 되돌아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어도 자기장에 반응하는 물질이 체내에 있기 ... ...
[광화문에서]부리부리 박사가 부흥부흥
동아일보
l
2013.08.16
우스꽝스러운 상황으로 교훈을 확인시켜 준다. 로켓을 발명하여 화성 탐험에 나섰다가
나침반
을 달지 않아 이름 모를 별에 불시착하고, 나무에 과일이 주렁주렁 열리게 만드는 신기한 약을 만들었다가 그 부작용으로 소동을 겪는 식이다. ‘부엉이 곳간’이라는 말이 있다. 부엉이는 새끼를 위해 ... ...
굿파더는 행복의
나침반
이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잘 개척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이다. ‘Good Father’는 자녀의 행복을 위한
나침반
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잊지 말아라. 당신이 가르친 ‘행복’한 삶을 계단삼아 먼 훗날 당신의 자녀도 훌륭한 ‘Good Father'로 거듭날 테니! ‘Good Father가 되기 위한 오늘의 과제’ : 자녀의 행복지수를 ... ...
KAIST 발명왕, 자석 이용한 스마트폰 입력장치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화면의 압력이나 정전기를 읽는 방식과 달리 자석을 이용한다. 대부분의 스마트폰엔
나침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지자기센서가 들어 있는데, 이 센서가 자력 변화를 인식해 스마트폰을 컨트롤 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올해 3월 미국 산타모니카에서 열린 ‘지능적 사용자 인터페이스(IUI)’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