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개
뉴스
"
농무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있는 토마토를 고르는 과학적 방법
2015.08.23
유전자가 토마토의 풍미를 저해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제임스 지오반노니 미국
농무
부 연구원은 코넬대,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와 공동으로 균질성숙 품종의 유전자가 식물의 광합성을 촉진하는 ‘GLK2’ 단백질의 분비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2012년 6월 학술지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
2015.08.07
최근 GMO의 안전성 논란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 자문관을 맡고 있는 마이클 셰크먼 미국
농무
부 생명공학 코디네이터는 “생명공학 기술로 개발된 GMO와 육종 기술로 재배된 농작물은 안전성 측면에서 차이가 없다”며 “이는 미국 국립과학원(NAS)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확인한 사항”이라고 말했다 ... ...
면역력 높이는 슈퍼푸드, ‘검은 반점 바나나가 노란 바나나보다 8배 더…’
동아닷컴
l
2015.06.17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백혈구로 대응하며, 백혈구가 부족하면 면역력이 약해진다. 미국
농무
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셀레늄이 결핍된 쥐를 사람의 감기 바이러스에 노출시키면 적당량을 먹은 쥐에 비해 더 심하게 감기를 앓는다. 이밖에 홍합 미역 멸치 등도 면역력 강화에 좋은 해산물로 손꼽힌다. ... ...
신종 공작거미 발견, 몸길이 5㎜… ‘전 세계 가장 귀여운 거미’
동아닷컴
l
2015.04.15
발견됐다. 공작거미는 ‘세상에서 가장 귀여운 거미’로 불리는 종이다. 호주
농무
부의 유르겐 오토 박사는 국제학술지 ‘페카미아(Peckhamia)’ 최신호에 “호주에서 ‘마라투스 작타투스(Maratus jactatus)’와 ‘마라투스 스켈레투스(M. sceletus)’라는 공작거미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오토 박사에 ... ...
과일에 묻은 잔류 농약 먹으면 정액 품질 떨어져
2015.03.31
유무와 체질량지수(BMI)를 변수로 포함하고, 과일과 채소의 품종별 잔류 농약의 양은 미국
농무
부의 조사결과를 참조했다. 그 결과 농약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은 과일과 채소를 하루에 1.5회 이상 먹었다고 응답한 남성들의 정액 품질이 하루에 0.5회 이하 섭취한 남성에 비해 크게 미치지 못하는 ... ...
비행기 회항의 또 다른 이유, 버드 스트라이크
2015.01.07
비행기에 부딪히는 ‘버드 스트라이크’의 원인을 밝혀냈다. 트레비스 디볼트 미국
농무
부 산하 야생동물연구센터 박사팀은 미국 인디애나대와 퍼듀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새가 물체의 속도보다 자신과의 거리에만 주의를 기울인 탓에 제때 피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영국왕립학회에서 ... ...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전문가 “한국선 적용 어려워”
동아닷컴
l
2014.10.30
많이 마시라는 권고가 옳은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연구 결과"라고 지적했다. 미국
농무
부 등은 골다공증을 예방하고 심장질환, 당뇨병 위험 등을 낮추기 위해 우유를 하루 석잔 정도 마실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칼 미카엘슨 교수는 "우유에 함유된 갈락토오스가 오히려 ... ...
수학 잘 하고 싶다면? OOOO를 드세요!
수학동아
l
2014.01.06
테리 피빅은 아침식사를 하면 수학점수가 높아진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최근 미국
농무
부 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침식사와 수학점수와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8세에서 11세의 초등학생 81명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40분의 간격을 두고 2회의 수학시험을 치르게 했다. 두 그룹은 하루 8시간의 ... ...
빗물로 인한 하천 오염방지가 지난해 최고의 건설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말했다. 통합수문모형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통합수문모형’은 미국
농무
성이 2000년 개발한 유역수문모형(SWAT)을 수자원연구실 김남원 박사팀이 산지와 경사가 많은 한반도 지형 특성과 물 공급 방식 등을 고려해 개선한 것이다. ‘SWAT’은 물의 탄생과 순환, 증발 등의 과정에 따라 ... ...
속이 안 좋아요? 5일만 투자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사람의 내장에 기생하는 미생물 장내구균(Enterococcus faecalis) - 미국
농무
부(USDA) 제공 우리의 장 속에는 체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은 미생물이 살고 있다고 한다. 바로 장내 미생물이 그 주인공이다. 장내 미생물은 우리 몸에 필요한 혹은 해로운 물질을 분비하는 등 하나의 신체기관처럼 작동한다. 이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