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공기
뱅기
날틀
AIRCRAFRT
비행사
선박
우주선
뉴스
"
비행기
"(으)로 총 808건 검색되었습니다.
극지연구소, 우리 기술로 3500m 두께 얼음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해안가에 있는 장보고과학기지와 약 1300㎞ 떨어져 있다. 연구팀이 사용한 레이더는 경
비행기
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극지연구소가 2018년부터 4년간 연구한 끝에 개발했다. 이 레이더를 사용하면 헬기를 사용했을 때보다 탐사 반경이 6배 이상인 1500㎞까지 늘어나고 최대 두께 4000m까지 정밀 ... ...
땅콩·계란 들었나 조마조마…식품 알레르기 치료약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된다”며 “내가 진료하는 한 10대 환자와 그의 가족은 알레르기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비행기
를 타본 적도 없다”고 말했다. 식품 알레르기가 심한 사람들은 아나필락시스를 비롯해 혈압 저하, 천식 발작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곧바로 응급 처치를 받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받는 수준에 ... ...
남극에 탐사 드론 띄워 지도 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05
통해 원격 감시도 할 수 있다.
비행기
대비 소모되는 연료도 훨씬 적다. 기존
비행기
가 200bbl(배럴, 1배럴=159리터)을 소모하는 동안 이번에 개발된 드론은 10bbl를 소모한다. 환경 관점에서 이점이 크다. 드론은 남극에 도착하면 얼음이 녹는 속도를 조사할 예정이다. 이는 전 세계 해수면 상승에 ... ...
나무 막대기 하나로 알아낸 지구의 크기
2024.01.13
있는 값과 고작 2%밖에 차이 나지 않을 정도로 정확했습니다. 이렇듯 우리가 현재
비행기
를 타고 전 세계를 누빌 수 있는 건 옛날부터 아리스토텔레스나 에라스토테네스 같은 학자들이 지구의 모양과 크기를 밝혀냈기 때문입니다. 홍성욱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 ※필자소개 홍성욱 ... ...
우주개발 경쟁이 촉발한 로켓 발사, 오존층 파괴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0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구간이다. 상업용 항공기가 성층권에서 비행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비행기
는 고도 10km 안팎에서 비행한다. 성층권에 진입해도 하층에 머무른다. 지구 대기권을 뚫는 로켓은 다르다. 대기권을 통과하는 동안 로켓의 배기가스 3분의 2는 대기권 중상층에서 배출된다 ... ...
극지硏 남극내륙기지 후보지 도착…세계 6번째 건설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2
이번 탐사로 장보고기지와 남극내륙기지 후보지를 잇는 1512km의 육상루트도 확보했다.
비행기
로 물자를 보급하면 기상 및 고비용 문제가 있어 남극내륙기지를 건설·운영하려면 육상루트가 반드시 필요하다. 탐사대는 장보고기지로 복귀하면서 270km의 신규 루트도 추가 개척할 예정이다. 빙저호, ... ...
[주말N수학] 우주선 위치·우주 쓰레기 탐지 센서 기술 뜬다
2023.12.31
각도로 위치하는지 알아내는 것은 여러 관측과 항법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자동차나
비행기
는 지구의 중력과 나침반을 활용해 자세를 파악하지만 우주선이나 위성은 그렇게 할 수 없어 다른 방법을 쓴다. 바로 ‘별 추적기(star tracker)’다. 별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인데, 알려진 ... ...
지구온난화로 스키장 녹아…스키연맹, 탄소배출 저감 동참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알프스 등지에서 열리는 국제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대서양 상공을 가로지르는
비행기
를 매주 왕복편으로 이용해야하는 실정이라며, 이같은 대회 일정으로 인해 불필요한 탄소 발자국이 만들어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FIS가 대회 일정을 조절해야한다고 요구했다. 이어 3만 ... ...
우주쓰레기 태우는 게 최선일까…"금속 에어로졸 영향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3.12.23
잠재적으로 오존층에 영향을 미칠 여지도 있다”며 “아직 연구된 바가 없기 때문에
비행기
관측과 수치 모델링을 통한 시뮬레이션으로 성층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화진 서울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심각하다고 표현하기에는 아직 대류권에서 우주 쓰레기 ... ...
"국제 공조 중요한 우주탐사… 한국도 명확한 목표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3.12.08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보였다. 일본 JAXA의 사사키 히로시 인간우주
비행기
술국 부국장은 "공동의 우주 탐사 목표를 세우는 게 중요한데 ESA와 JAXA는 (이러한 기관을 통해) 우주선을 제작하는 등 협력을 하며 많은 혜택을 누렸다"며 우주항공청 설립으로 국제 공조가 활발해질 것으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