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38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열만으로 바닷물을 식수로"…UNIST, 차세대 담수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장지현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기
없이도 바닷물을 효과적으로 담수로 바꿀 수 있는 태양열 해수 증발 장치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에 게재됐다. 태양열 해수 ... ...
반도체 공정 온실가스 분해하는 고성능 촉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기술을 적용하고 있지만 연소방식은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플라즈마 방식은 대량의
전기
가 필요해 대용량 처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미국과 일본에서 1990년대부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면서 대용량 분해 처리가 가능한 촉매 분해 방식이 연구 중이다. 현재까지 개발된 분해 촉매는 75 ... ...
체코 원전 불공정 계약 파장…"SMR은 달라 독자 기술 증명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8.21
고압의 물로 원자로를 식히면서 물이 증기발생기를 거쳐 간접적으로 터빈을 돌려
전기
를 만드는 방식을 가리킨다. 한수원이 체코에 수출하려는 'APR-1400 원자로'도 한수원과 국내 업계가 국산화에 성공한 다수의 기술이 적용됐지만 웨스팅하우스의 PWR 방식에 기반하고 있다. 웨스팅하우스는 ... ...
[과기원NOW] 포스텍, "
전기
신호로 기능 변하는 다기능 메타렌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연구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고려대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전기
신호 하나로 기능이 변하는 다기능 메타렌즈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머리카락보다 얇은 두께로 고화질 촬영과 3D 측정이 가능하다. 상용화되면 무거운 VR·AR 헤드셋이 일반 안경 수준으로 가벼워질 수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빵 반죽'처럼 빚는 첨단소재 기술…나노복합체 제조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저장하는 능력을 부피 기준으로 나타낸 단위다. 일반 상용 슈퍼커패시티의 부피당
전기
용량이 대략 10~100F/cm³ 수준이다. GOD로 제작한 전자파 차폐 소재는 81.3 데시벨(dB)로, 전자파를 99.9999% 차단했다. GOD는 실온에서 나노소재를 수 분만 섞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접착제를 바르거나 고온에서 굽는 ... ...
충전 필요없는 스마트워치 나올까…체온으로
전기
생산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출력 전압이 높다. 장 교수는 “사람 체온이나 주변에서 버려지는 작은 열도
전기
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보여준 연구”라며 “웨어러블 기기와 자율형 사물인터넷(IoT)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발전 시스템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doi.org/10.1039/D5EE0121 ... ...
'빠르게 가볍게'…스페이스X처럼 로켓 부품 3D 프린팅으로 만드는 이노스페이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0
발사체 부품 '회전체'를 만지작거리며 이렇게 말했다. 회전체는 발사체
전기
펌프에서
전기
에너지로 회전하며 추진제를 연소실에 주입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이다. 이노스페이스는 그동안 업계에서 형태가 복잡해 3D 프린팅으로 제작할 수 없다고 여겨졌던 회전체를 국내 최초로 3D 프린팅으로 ... ...
라식 수술 패러다임 바뀔까...레이저 대신
전기
자극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8.19
‘
전기
기계적 재형성(EMR)’ 기법을 적용했다. 조직 내 콜라겐과 수분의 전하 결합을
전기
자극으로 느슨하게 풀어내 일시적으로 유연하게 만든 뒤 다시 원래의 산성도(pH, 수소이온농도) 상태로 회복시키면서 새 형태로 고정하는 방식이다. 웡 교수는 “살아 있는 조직을 성형 가능한 재료로 바라보다 ... ...
원전 폐수 속 삼중수소, 상온 액체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19
말했다. 제1저자인 김효주 박사과정생은 “그래핀이 수소 동위원소 분리를 위한
전기
이동과 확산 조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했다”며 “이차원 물질을 활용한 동위원소 분리 기술 발전의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doi.org/10.1021/acsami.5c0841 ... ...
[과기원NOW] DGIST, QLED 수명·효율 높이는 핵심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8.18
QLED)의 수명과 효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소재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전기
적·열적 스트레스에도 쉽게 분해되지 않는 '고결합 에너지 유기 소재'를 정공수송층에 적용해 장기간 밝기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차세대 QLED 구현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7월 1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