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랑
낭떠러지
급경사면
고대
절애
급사면
가파른 비탈
뉴스
"
절벽
"(으)로 총 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벽
에서 아침을 맞은 개
팝뉴스
l
2021.08.11
큰 화제인데 일부는 개의 심정은 어떨까 궁금하다고 말한다. 개도 행복할까? 아니면
절벽
광 주인을 만나서 큰 고생을 하고 있는 것일까? 개를 동정하는 여론도 있지만, 일부 네티즌들은 개가 부럽다고 말하기도 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랜턴을 켜고 낮은 포복으로 탐험하는 '백룡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07.31
들지 않는 암흑 천지로 변했다. 백룡동굴은 남한강의 줄기인 동강 옆의 백운산 기슭
절벽
에 있는 석회동굴이다. 1976년 주민들이 발견한 이 동굴은 개방된 동굴이지만 표를 끊고 들어가는 다른 동굴과 달리 생태계가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하루 동안 입장할 수 있는 인원도 제한하고 조명도 ... ...
[애니멀리포트] 수리부엉이, 6개월 간의 육아일기
2021.07.10
알고 있었지만 어쩔 도리가 없었다. 어미는 겨우내 비어 있던 공사장을 둥지로 삼았다.
절벽
의 바위틈이나 산림절개면의 평평한 곳에 둥지를 짓는데, 안타깝게도 잠시 중단된 공사장의 모습이 이와 닮아 있었다. 봄이 다가오며 공사가 재개됐고, 어미와 알 모두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알을 꺼내 오는 ... ...
"공룡, 추운 북극권서도 번식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찾은 것은 황금광을 찾는 것과 같은 작업에 가까웠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알래스카에서
절벽
에 직접 올라 퇴적물을 퍼내고 돌과 흙을 제거한 뒤 연구실로 가져와 현미경으로 뼈를 찾아냈다. 드럭큰밀러 관장은 “공룡 알은 부화하기까지 보통 3~6개월 걸리는데 봄에 알을 낳고 새끼가 태어나도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절리로 틈이 생긴 부분이 더 빨리 침식됩니다.. 울릉도의 코끼리 바위. 파도가
절벽
양쪽에서 약한 부분을 무너뜨려 ‘해식아치’라는 구조를 만들었다. 침식이 더 진행되어 위가 무너지면 ‘씨스택’이라는 탑 모양 구조만 남기도 한다. 동해의 촛대바위가 대표적인 예다. 우경식 제공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기술을 안전하고 깨끗하게 활용하는 지혜
2021.06.09
있다. 사냥과 채취도 사나운 짐승과 싸우는 과정에서의 부상이나 사망의 위험과 가파른
절벽
에서의 추락 위험을 감수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불을 잘못 다루면 심각한 화재로 번져서 엄청난 재산상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목숨을 앗아가기도 한다. 인류가 개발한 기술은 환경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 ...
[주말N수학] 당신을 속도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수학동아
l
2021.06.05
않고 있습니다. 이번 영화에서 가장 멋진 장면은 헬기를 피해 도망치던 도미닉의 차가
절벽
으로 떨어졌을 때때입니다. 마치 매가 먹이를 낚아채듯 사이퍼가 운전하는 자기력 비행기가 다가오는데 차와 비행기의 순간 속도가 같아졌을 때, 비행기의 하단부에서 집게가 나와 차의 지붕을 움켜쥐고 ... ...
목숨을 걸고 찍은 사진, 알고보니
팝뉴스
l
2021.04.23
제공 한 남자가
절벽
위에 여유롭게 앉아 있다. 떨어지면 큰 일이 나는데도 남자는 전혀 두려움이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이 용감한 남자의 사진에는 비밀이 있었다. 알고보니 남자는 겁없는 사람이 아니었다. 아주 안전한 곳에 앉아 있었던 것이다. “목숨을 걸고 찍은 사진”이 해외 ... ...
[지구는 살아있다] 왜 설악산 돌은 밝은색이고, 제주도 돌은 어두운색일까
2021.03.27
화강암의 절리는 마치 양파껍질처럼 바깥부터 겹겹으로 벗겨진다. 그래서 화강암
절벽
은 오랜 시간이 지나면 울산바위처럼 돔 형태의 둥글둥글한 모습으로 바뀐다. 제주도 현무암에는 화산 활동의 흔적이 남아 있다. 용암이 흐른 자국인 ‘새끼줄구조’와 용암이 식으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자화상
2021.03.25
있음을 알려준다. 한국 대학 과학자 사회의 계층화 요인 연구 한국의 대학은 인구
절벽
과 수도권 중심 편중이라는 현상을 통해 이미 엄청난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그리고 이런 변화 이전에 이미 한국 대학들은 미국 대학들이 시작한 연구중심대학의 활성화와 학문의 상업화를 통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