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미 안데스에선 온실가스가 가뭄 해결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지난달 국제학술지 '미국기상학회
회보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에 공개했다고 17일 밝혔다. 비가 오랫동안 오지 않아 강수량이 부족하면 가뭄이 발생한다. 기상학적 가뭄은 토양의 수분이 부족한 상태인 농업적 가뭄으로 이어지고 더 심해지면 하천의 ... ...
뇌 안에 통증, 쾌락 '교차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12일 발표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11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실렸다. 연구팀은 연구참가자 58명이 자기공명영상(MRI) 장비에 들어가 있는 동안 캡사이신을 이용해 통증을 자극하거나 초콜릿 용액으로 쾌락을 자극했다. 또 참가자들은 실험에 참여하는 ... ...
극지 생물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사이의 거리 등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4일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발표했다.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 보통 생물의 체내에서 세포 분자들의 응집력이 강해진다. 분자들은 뭉쳐서 작은 얼음알갱이를 생성하고 작은 얼음알갱이들이 뭉쳐 큰 얼음덩어리를 생성한다. ... ...
태양계 외곽 혜성, 지구에 당분 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형성됐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아로코스는 지구로부터 40억 마일(약 64억km) 떨어진 곳에 있는 카이퍼벨트 천체(KBO)다. 카이퍼벨트는 태양계에서 해왕성 궤도 바깥의 원반형 영역으로 먼지와 얼음으로 이뤄진 천체들이 모여있는 ... ...
포식자 말벌의 '전기장' 느끼는 애벌레
동아사이언스
l
2024.05.22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2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전하를 띤 물체는 전하를 띤 다른 물체에 힘을 가하는 전기장을 형성한다. 자연에 있는 동물과 식물도 거의 항상 전하를 띠고 있다. 특히 동물은 걷거나 날갯짓하는 등 이동하면서 몸에 ... ...
바퀴벌레의 세계 정복, '인간 활동' 덕분에 가능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1
지구 거의 모든 곳에 존재하게 됐다는 연구결과를 20일(현지시간)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발표했다. 2023년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인간의 활동을 따라 서식지를 옮긴 외래종은 총 3만7000종으로 추산된다. 매년 200종의 새로운 외래종이 발견되면서 동식물종 서식지가 재편되고 있다 ... ...
"고지방 식단이 특정 장내 미생물 늘려 암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7
쑨얏센 대 쑨얏센 기념병원 연구팀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결과를 미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6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쑨얏센 기념병원에서 치료를 아직 받지 않은 유방암 환자 61명의 세포 조직 및 대변 샘플을 채취했다. 이 중 비만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설정한 체질량지수(BMI) 24를 초과한 ... ...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과정과 눈을 깜박이는 행위 간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구결과를 지난 9일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에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눈을 깜박이는 행위는 우리가 깨어 있는 시간의 3~8%를 차지한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의 눈 움직임을 추적하고 컴퓨터를 이용해 시각 정보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 ...
[과기원NOW] KAIST, 관 삽입 없이 방광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수 있다. 비인간 영장류를 통해 확인한 이번 실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에 지난 2일 발표됐다. ■ 포스텍은 김기문·심지훈 화학과 교수, 김준성 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그래핀 수준의 전자 이동속도를 갖는 전도성 이차원 고분자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꿈의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위험을 낮추는 뇌혈관계 유전자 변이를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병리학
회보
'에 10일(현지시간) 게재했다. 연구팀은 APOE-e4 유전자가 있지만 치매 증상이 없는 사람들에 주목했다. 이들에게 알츠하이머병을 예방하는 유전자 변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APOE-e4 유전자를 가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