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스페셜
"
나노
"(으)로 총 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신소재 '맥신'을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3.03.26
2차원 평면구조로 전이금속에 탄소 또는 질소가 결합해 원자 두께의 층으로 구성된
나노
물질이다. 맥신은 전기전도도가 높으면서도 말단에 존재하는 수산화기나 산소로 인해 친수성이 있어 용액공정이 가능하다. 또 다양한 전이금속과 13족 또는 14족 원소, 탄소 또는 질소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 ...
[오늘과학] '꿈틀꿈틀' 수mm 공간 기어가는 애벌레 모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3.03.24
있는 층은 열에 노출되면 수축한다. 윗층에 해당하는 폴리머는 열에 노출되면 팽창한다.
나노
와이어 전극을 심어 전기로 열을 가한다. 연구팀은 “적당한 양의 열에 노출시켜야 한다”며 “그렇지 않고 너무 많은 열에 노출시키면 오히려 움직임에 제약을 받는다. 폴리머 2개층이 효율적으로 ... ...
[오늘과학] 암 세포에 형광물질 붙여 수술 중 정확히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3.03.20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했다. 1000
나노
미터(nm) 이상의 파장을 가진 단파 적외선은 700~800
나노
미터인 근적외선(NIR)보다 아주 미세한 물질을 포착하고 영상화하는 데 유리하다. 실제 쥐를 사용한 실험에서 이 형광염료를 사용한 의료진은 형광염료를 사용하지 않고 실시한 수술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 ...
[표지로 읽는 과학] 카이랄성이 형성한 나비넥타이 모양의
나노
시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18
결과
나노
시트가 조립되면서 나비넥타이처럼 꼬이는 모양이 형성됐는데 꼬이는 방향은
나노
시트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분자의 카이랄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비넥타이의 꼬임 각도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다양한 나비넥타이 입자가 카이랄성 값에 따라 ... ...
[과기원은 지금] KAIST 연구진 "노화로 뇌막에 당 쌓인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화학생물공학부 교수와 공동으로 '실시간 투과전자현미경 분석법을 이용해 반도체 양자
나노
결정의 상전이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향후 반도체 물질의 구조제어를 활용해 다양한 디바이스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공개됐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기존 대비 50배 우수 데이터 압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신기정 KAIST 김재철인공지능(AI)대학원 교수. KAIST 제공 ■ 신기정 KAIST 김재철인공지능(AI)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9일 기존 대비 50배 이상 우수한 압축률의 데 ... 차세대 반도체 소자 제작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에 지난 6일 공개됐다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기존 제품들에 비해 바를 수 있는 면적이 넓다. 연구팀은 “개발한 페인트는 150nm(
나노
미터·1nm는 10억분의 1m) 두께로만 칠해도 원하는 색을 낼 수 있다”며 "약 1.3kg만 있어도 보잉747 전체를 칠할 수 있을 정도인데 기존 제품이라면 약 453kg의 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명도 길다. 시간이 지나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갑각류 눈에 달린
나노
사이즈 반사경
동아사이언스
l
2023.02.19
바뀔 때마다 반사경이 다른 색상을 반사하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
나노
입자들의 구조가 이런 기능을 갖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하타자 교수는 “이 반사경으로 갑각류들이 다양한 서식지에서 몸을 은폐하며 살아가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 반사경을 모방하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하나짜리 분자이므로 C2보다는 C1이 더 쉽게 만들어진다. 그런데 지난 2018년 구리
나노
입자 촉매를 써서 이산화탄소에서 C1보다 C2를 더 많이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C1과 C2가 뭐 그리 큰 차이냐고 하겠지만 생물의 관점에서는 차이가 크다. 세포의 에너지/물질 대사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하는 고분자 합성 기술이 등장했고, 이제는 미래의 소재로 전망되는 탄소 기반의 첨단
나노
소재가 개발되고 있다. 탄소의 다양성을 활용하는 기술은 앞으로도 더욱 높은 수준으로 발전할 것이 분명하다. 탄소의 활용을 포기해버리면 인류의 삶은 야생의 짐승들 수준의 수렵채취 시대로 되돌아갈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