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스페셜
"
두께
"(으)로 총 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누리호를 만드는 기업들](1)발사체·위성 종합솔루션 기업 꿈꾸는 KAI
동아사이언스
l
2021.08.04
어렵다.
두께
15mm의 알루미늄 합금판 한층을 돔 모양의 틀에 놓고 대형 롤러로 밀어
두께
2mm로 얇게 만드는 ‘스피닝’ 과정을 거친다. 내부에 엄청난 힘을 가하다 보니 뒤틀림이 발생해 정확도를 높이는 게 난제다. 이 작업에는 지름 3.5m의 돔 형태 틀이 사용되는데 틀과 알루미늄 합금판 사이에 ... ...
지난달 27일 그린란드 얼음 하루만에 85억t 녹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1
그린란드에서 85억t 가량의 얼음이 녹아내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시 전체 넓이에
두께
가 15m에 이르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가 하루만에 녹아버린 셈이다. 이는 미국 플로리다 주 전체를 약 5cm 가량 물로 뒤덮을 수 있는 양으로 25일부터 사흘간 녹아내린 얼음의 양을 모두 합하면 총 184억t에 ... ...
[올림픽의 과학]진화한 운동화 기술, 도쿄올림픽 단거리 판도 바꿀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30
제한을 빗겨갔다. 연맹은 지난해 12월 트랙 스파이크도 800m 이하 단거리는 밑창
두께
를 20mm로 제한하고 800m 이상 중장거리는 25mm로 규제하는 안을 공개했다. 후그카머 교수는 "단거리는 에너지 소비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거리와 원리 자체가 달라 정확한 효과를 평가하기 어렵다"며 "스파이크는 ... ...
지구 밖 첫 지진파 연구로 화성 내부 구조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23
아래 19km
두께
로 같은 지각이거나 암석층인 맨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지구 지각
두께
는 바다판에서는 약 5~10km, 대륙판에서 40~50km인 점과 비교하면 지구보다 조금 두껍다는 결론이다. 아미르 칸 취리히연방공대 지구과학부 연구원팀은 화성의 지각 아래 맨틀이 깊이 약 800km까지 ... ...
원자
두께
2차원 반도체 쌓아 초격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주기적 배열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주기적인 층을 이루도록 쌓은 구조를 말한다. 각 층
두께
는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다.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nm로 쌓아 만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2차원 반도체 물질은 층과 층 사이 약한 공유결합이 생겨 박막이 균일하게 쌓이지 ... ...
99.999% 고순도 불화수소 국산화, 그 뒤엔 기업-출연연 팀플레이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디스플레이뿐만 아니라 반도체 웨이퍼, 배터리 보호막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께
를 측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며 “현재 글로벌 디스플레이 회사에 이 기술이 적용돼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표준연은 이날 원내에 자체 개발한 장비를 설치한 ‘오픈 이노베이션랩’을 열고 내부를 ... ...
칠레·페루가 세계 최대 구리 광상 보유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1.07.12
지각의
두께
차이 때문”이라며 “반암형 구리 광상의 크기뿐 아니라 금 함량도 지각의
두께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 ...
[Q&A] 3분기 백신 접종 “고3 mRNA 백신 맞아도 부작용 없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7.05
Q. mRNA 백신 이상반응으로 거론되는 심낭염과 심근염은 무엇인가?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두께
1.5mm 정도인 아주 얇은 막을 심낭이라고 부른다. 또 심장은 온몸에 피를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하기 때문에 두꺼운 근육 덩어리로 돼 있는데, 이 근육을 심근이라고 부른다. 심낭과 심근에 염증이 생기면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마지막으로 최종 복토층을 덮는다. 아래에서부터 물이 잘 통과하지 않는 점토를 45cm
두께
로 덮은 차수층, 부직포를 깔아 배수를 돕는 배수층, 그리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양질의 흙을 60cm 덮는 식생대층이 쌓인다. 매립이 종료된 지 20여 년이 지난 제1매립장은 식물이 잘 자리 잡아 언뜻 보면 ... ...
[랩큐멘터리] 5G 넘어서는 통신기술, 안테나에서 답을 찾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3
안테나다. 디스플레이 내장 안테나는 대표적인 사례다. 디스플레이에 사람 머리카락
두께
의 50~100분의 1인 얇은 미세전극을 넣어 사람 눈에 띄지 않으면서도 디스플레이의 넓은 면적을 안테나로 쓰는 기술이다. 홍 교수가 발명한 이 기술은 2016년 삼성전자 스마트워치에 적용됐다. 최근 삼성전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