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율동
박자
속도
템포
운율
비트
가락
스페셜
"
리듬
"(으)로 총 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사람에서는 크립토크롬이 관여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참고로 크립토크롬은 24시간
리듬
(생체시계)에 관여하는 유전자로 먼저 연구됐다. 지구자기장 세기의 자기력선이 위쪽을 향한 상태에서는 시계반대방향이나 시계방향, 고정 상태에서 모두 알파파에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위 왼쪽부터). 반면 ... ...
가장 달콤하고 저렴한 혈압약은 '꿀 같은 낮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비롯해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생체
리듬
에 따라 아침에 기상한 지 6시간 뒤에 낮잠을 자는 것이 가장 좋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 수면주기가 약 90분이기 때문이다. 캘리스트라토스 박사는 "추후 연구를 통해 혈압을 낮추는 데 가장 적당한 낮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다이어트도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때
2019.01.02
칼로리제한(위 빨간색)과 시간제한섭식(아래 녹색)의 대사율 그래프는 강한 일주
리듬
을 보이지만 아무 때나 마음대로 먹으면(검은색) 그래프가 밋밋하다. RER은 호흡교환율로 대사율을 나타내는 지표다. RER이 클수록 대사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소모되는 산소 양보다 많아 대사가 활발하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울트라디언
리듬
을 알면 삶이 편해진다
2018.09.26
게 부신의 호르몬 분비가 울트라디언
리듬
을 보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울트라디언
리듬
특히 기본휴식활동주기의 개념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면 좀 더 건강하고 효율적인 삶을 살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90분 주기에서 활동 기간에는 열심히 일하거나 공부하다 휴식 기간으로 들어섰다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urge to sleep)는 수면압력에서 생체
리듬
각성도를 뺀 결과다. 즉 수면압력이 같더라도 생체
리듬
각성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 더 졸리다. 결국 두 요인의 타이밍이 잘 맞아떨어지면 잠자는 데 문제가 없고 어긋나면 수면장애가 된다. 수면욕구는 뇌의 피로도(수면압력(S))에서 생체시계 각성도(C)를 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별도로 호흡 속도도 감지해 그 정보를 변연계와 변연계 앞 전전두엽에 보낸다”며 “호흡
리듬
이 뇌의 여러 영역에 걸쳐 신경 활동을 조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즉 호흡과 코(후각계), 감정/행동이 밀접히 관련돼 있다는 말이다. 마음챙김 정좌명상2는 ‘생각과 감정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제치고 ‘희망사항’이 세 곡 안에 뽑혔다는 게 좀 뜻밖이기도 했다. 물론 곡의 경쾌한
리듬
도 인상적이지만 특히 가사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은 흔적을 남긴 게 아닐까. 사실 이 노래의 가사를 음미해보면 한 편의 뛰어난 서정시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참고로 ‘희망사항’은 노영심 씨가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이 완성되면서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야말로 ‘극저온전자현미경’ 시대가 열렸다. 생체
리듬
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귀에서 압력 변화를 느껴 읽고 듣게 도와주는 센서 분자, 지카 바이러스 등의 구조가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 덕분에 밝혀졌다. 유명한 국제학술지 표지 역시 자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망막의 신경절세포 일부(약 2%)에 존재하는 멜라놉신은 빛에 반응해 뇌에서 일주
리듬
을 주관하는 시교차상핵(SCN)으로 신호를 보낸다. 즉 뇌는 멜라놉신을 통해 낮과 밤의 정보를 얻고 이에 따라 생체시계가 시간을 맞춘다는 말이다. 그런데 멜라놉신은 파장이 480나노미터인 파란빛에 가장 민감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실은 논문에서 “우리가 찾아낸 서로 전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세 가지 일주
리듬
돌연변이체가 동일한 유전자에 문제가 생긴 결과라는 건 놀라운 일”이라고 언급했다. 둘은 이 유전자를 ‘period(주기, 줄여서 per라고 씀)’라고 불렀다. 그리고 주기가 상실된 변이체를 per0, 주기가 짧아진 변이체를 ... ...
이전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