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스페셜
"
본
"(으)로 총 1,62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시선에서 생각하기 능력의 중요성
2023.03.11
지식에 대해 “이렇게 쉬운 걸 몰라?”라는 무책임한 말을 하는 선생님이나 상사들을
본
적이 있었다면 공감할 수 있는 결과다. 개구리 올챙이 적 모른다는 말이 어느 정도 근거가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나의 경우 올챙이적이 그렇게 떠올리기 힘들 정도로 머나먼 옛날이었던 것은 ... ...
[오늘과학] 성격 특성에 맞는 저축 방식, 저축액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저축, 은퇴를 위한 저축 등이 포함됐다. 분석 결과 모든 참가자가 이메일을 열어
본
것은 아니지만 성격과 일치하는 조건을 받은 참가자의 11.4%가 100달러 저축 목표에 도달해 가장 성공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메일을 받지 않은 조건에서는 3.4%만이 저축 목표를 달성했다. 이메일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중에 뿌려진 씨앗을 땅 속에 정확히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8
흙 속에 자리 잡도록 한다. 연구팀은 나무 소재를 활용해 쥐손이풀의 꼬리 모양을
본
딴 보조장치를 만들었다. 이 보조장치는 흙과 만나 축축하게 젖으면 나선형으로 풀어지면서 흙을 파고든다. 마치 드릴이 땅을 파는 모습과 같다. 연구팀은 최적의 굴착력을 얻을 수 있는 곡률과 나무소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정체를 알 수 없는 ‘문과 침공’ 논란
2023.02.15
모르겠고, 정시를 치르는 ‘이과’ 학생들이 스스로 ‘나라’를 세웠다는 이야기도 들어
본
적이 없다. 아무리 언어 파괴가 심각한 현실을 고려하더라도 ‘이과 침공’은 도무지 용납할 수 없는 자극적이고, 파괴적인 표현이다. 성균관대학교 ●대학이 문과 침공을 책임지라고? 주요 사립대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위한 약초를 찾아 정리하고, 각종 의료기구를 제작하기도 했다. 그가 하자는 대로 해
본
결과 질병 치료효과가 전보다 훨씬 좋아지자 제자들이 모여들었다. 히포크라테스를 받든 제자들은 의학을 더 공부하고 연구했고, 이에 따라 의학은 더 발전했다. 히포크라테스가 의학의 패러다임을 바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분포하는 나트륨 통로인 ENaC로 밝혀졌다. 야생동물이 짠맛이 나는 광물을 핥는 장면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인류 역시 마찬가지였겠지만 약 1만 년 전 농업을 발명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작물화와 가축화가 진행되면서 씨나 지방 같은 저장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며 야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을 끌어내리지 않고 자존감 올리기
2022.12.31
자기 확인을 한 참가자들, 다시 말해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가치들이 무엇인지 떠올려
본
참가자들은 굳이 자신을 끌어올리기 위해 친구를 끌어내리는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나 자신이 가치 없는 인간이기보다는 가치 있는 사람이라고 믿고 싶은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고작 내가 나에 대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트레스는 '백신'...어려움 속 더 강해진다
2022.12.17
습득하고 이렇게 향상된 스킬을 통해 또 다른 어려움이 닥쳐와도 더 잘 이겨내게 된다고
본
학자들도 있다. 이를 스트레스의 “접종이론(stress inoculation theory)”이라고 한다. 생각해보면 극복해야 할 어려움이 아무 것도 없는 경우 더 나은 삶을 살아야겠다는 동기 자체가 부족할 것 같기도 하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것이라고 예견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유전자 조작에 대한 윤리적 합의를
본
1975년 아실로마 컨퍼런스 필자가 대학입시를 준비하던 1980년대 초부터 유전공학'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이기 시작했고 관련 학과도 생겨났다. 중고등학교 생물학(요즘의 생명과학) 교과서에서 멘델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사이언스 표지에 담겼다. 신경세포(뉴런)의 연결성을 표현하기 위해 뇌를 중앙에서
본
모습을 형상화했다. 뇌는 수많은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와 같다. 우리가 움직이거나 생각을 하는 과정은 뉴런이 서로 협력한 결과다. 뇌를 구성하는 860억 개의 뉴런들은 서로 긴밀히 연결돼 있어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