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리
사고
일고
안
스페셜
"
생각하기
"(으)로 총 2,95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에도 통하는 플라시보 효과
2024.09.04
플라시보(위약) 효과는 정신과 신체의 상호작용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네이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학술지 논문에서 언급하는 참고문헌은 대부분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고 가끔 특정 분야를 주제로 전문가들이 한 장씩 맡아 쓴 글을 모은 편저도 보인다. 지난주 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Self-handicapping): 하루 이틀 벼락치기하고도 이 정도 성적을 받은 건 꽤 잘 한 거라고
생각하기
위해 계속 공부를 안 하다가 마지막에 벼락치기를 하는 학생을 상상해 보자. 미리미리 열심히 해놓고도 실패했다는 사실을 직면하면 '내가', '나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소속 욕구가 강할수록 상처받는다
2024.08.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어떤 사람이 갈등을 잘 풀어갈까 어떤 관계에서든 아무리 좋은 사람을 만나더라도 적어도 한 번 이상 부딪힐 일이 반드시 생기기 때문에 인간관계에서는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 하는 '선택'의 문제 못지않게 어떻게 관계를 '유지'해 나갈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비슷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의 운명
2024.08.2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의사 중에는 자신의 믿음을 증명하기 위해 무모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대부분은 의사를 믿고 몸을 맡긴 환자들이 영문도 모른 채 희생되지만 때로는 자기 몸을 내놓은 용기 있는 의사도 있다. 예를 들어 19세기 독일의 위생학자 막스 폰 페텐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이해하는 사람과의 관계는 '나의 일부'가 된다
2024.08.1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외로움의 실제 모습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과는 꽤 다르다. 예를 들어 친구가 많고 항상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있는 사람이 외롭지 않을 것 같지만 실제로 관계의 '양'은 외로움과 큰 상관이 없다. 이보다는 관계의 '질'이 더 중요해서 한 두 명일지라도 내가 믿고 의지할 수 있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필요한 관심사 '가지치기'
2024.08.03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리는 무엇이 정말 중요하고 중요하지 않은지, 무엇에 관심을 두고 무엇에 대해 이야기 해야 할지, 반대로 어떤 것들에 대해 관심을 줄이고 이야기하지 말아야 할지를 잘 따져봐야 해." 몇 해 전 들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고개를 끄덕이게 되는 조언이다. 예를 들어 우리가 평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사람의 내부를 볼 수 있는 빛의 발견 무엇인가가 눈에 보인다고 하는 것은 사람의 눈으로 그 대상이 가시광선의 빛을 발산한 것을 감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빛은 파장을 가지고 있고 그 파장이 약 400~700nm에 속해야 눈에 보인다. 가시광선중에서 파장이 가장 큰 것은 빨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데이트폭력'으로 이어지는 '가스라이팅'
2024.07.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루가 멀다 하고 연인 관계에서 결별을 말했다고 해서 폭력을 행사하거나 심지어는 살인까지 벌어지고 있다. 요즘은 십대에서도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피해자에게 조심하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에게 가해하지 말라고 해야 하지만 그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1958년 51세인 할랜드 우드 교수(왼쪽)의 연구실에 들어온 32살 늦깎이 대학원생 라르스 융달(가운데)은 혐기성 박테리아 무렐라 써모아세티카(오른쪽)가 이산화탄소에서 아세테이트를 만드는 대사 경로를 규명하는 연구 주제를 받았다. 두 사람은 그 뒤 30여 년 동안 협력해 대부분을 밝혔고 지금은 ' ... ...
[표지로 읽는 과학] 공룡시대 전 '변기 모양 머리' 포식자 번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7.20
네이처 제공 이번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2억7200만년 전 살았던 거대한 도롱뇽처럼 생긴 포식자인 ‘가이아시아 제니애’의 이미지가 실렸다. 클라우디아 마르시카노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 지질학과 교수 연구팀은 네이처 이번 주 발행호에서 가이아시아 화석을 발견했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