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죄책감"(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마다한다. 또는 유능하지 않은 파트너를 고르는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린다. 연구자들은 죄책감을 잘 느끼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팀을 위해 더 열심히 일하고 좋은 성과를 내는 경향을 보이나 스스로 특히 ‘유능한’ 사람들과 함께 일할 상황을 피하는 경향이 있어서 좋은 파트너가 될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2017년 행복하고 싶다면, 이렇게 해보자!2017.01.03
- 순수한 행복, 즐거움을 느끼는 것에 대해 ‘지금 이럴 때가 아닌데..’라는 등의 죄책감을 느끼며 스스로 즐거움을 끊어내는 현상을 지적한 바 있다. 이런 식의 ‘행복 끊기(killjoy)’ 행동이 심할수록 현재의 즐거움에 머물지 못하며 행복하지 못할 가능성을 확인하기도 했다(Bryant & Veroff, 2007). 행복에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정서적 측면 vs 반사회적 측면 연구자들은 사이코패스 성향을 크게 ‘정서적 측면(죄책감이나 두려움이 없는)’과 ‘반사회적 측면(충동적이고 무자비한)’으로 나누었다. 이 중 정서적 측면은 사이코 패스 성향이 높은 사람들이 강한 추진력이나 카리스마가 필요한 특정 직업군에서 성공할 수 ...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눈 앞에 있는 생명체가 같은 인간이라기보다 벌레 또는 짐승이기 때문에 별 다른 죄책감 없이, 심지어는 어떤 정의감에 도취되어 각종 고문 등의 잔인한 행동을 할 수 있고 생명을 앗아가는 일 또한 거리낌 없이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Kteily 등의 학자들은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국가, ... ...
- 내 감정 재평가하기 vs 억누르기, 무엇이 효과적?2016.10.18
- 감정을 속여야 한다는 점에서 자신이 스스로에게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모종의 죄책감을 느끼고 자율성을 낮게 지각하는 현상들이 나타났다. 또한 이런 류의 감정 조절을 써야만 하는 환경은 아마도 개인이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표현하지 못할 환경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고려하면 5번은 ... ...
- 자기 방어와 합리화, 어떤 상황에서 튀어나올까2016.10.11
- 있었다고 한다. 전반적으로 부끄러움은 자기 방어 및 합리화와 더 큰 관련을 보이는 반면 죄책감은 미래지향적이고 건설적인 행동들과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또한 부끄러움은 화, 공격성, 타인을 비난하는 것과도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한 연구(Thomaes et a., 2008)에 의하면 파트너보다 자신의 성적이 ... ...
- 우울함을 다스리는 방법2016.10.04
- 생길 때에는 ‘실망감’이, ought self와 actual self 사이에 갭이 생길 때는 ‘불안’과 ‘죄책감’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말 피하고 싶은 어떤 상태(undesired self, 직업이 없는 것만은 피하고 싶다거나)와 actual self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각종 부정적 감정을 크게 느끼게 된다고 한다. ... ...
- 성차별, 백인/남성이 지적하면 개선 효과 크다2016.07.26
- 것이 더 ‘진정성’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덜 공격적으로 받아들이며 죄책감을 느끼게 하는데에도 더 효과적이었다고 한다(Czopp & Monteith, 2003). 따라서 차별을 받는 당사자가 아니더라도 옆에서 함께 이야기 해주는 것이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대응의 효과 앞서 살펴본 ... ...
- 정신장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7.13
- 정말 잘못된 일이다. 제대로 된 양육으로 이끌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부모에게 불필요한 죄책감만 지우기 때문이다. 위장병을 앓는 환자에게 부드러운 닭고기 죽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정신장애인에게 부모의 적절한 태도가 도움이 될 수는 있다. 그러나 잘못된 양육으로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왠지 가해자가 된 것 같은 알 수 없는 죄책감 같은 게 생기게 될 텐데 그런 ‘불편한 죄책감’을 떨치기 위해서 이런 방어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일 수 있겠다. 또한 집단 정체성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과도 결국 연결된 부분이라 (우리는 자신을 규정할 때 스스로의 고유한 모습-나는 뭘 잘 하고 뭘 ... ...
이전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