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
과학동아
l
200210
방법은 실험 예정지 주민의 반대로 실험 계획을 철회할 정도로 반대 여론이 드세다.1997년
미국
과 일본, 노르웨이 3개국은 대양에 이산화탄소를 격리 저장시키는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후 호주와 스위스, 캐나다가 후원국으로 참가한 이 프로젝트는 발전소 굴뚝에서 나오는 ... ...
물리와 사랑에 빠진 탄소나노튜브의 대부 임지순
과학동아
l
200210
불만이 많은데…”라며
미국
버클리대로 유학갔을 때를 회고했다. “같이 공부하던
미국
인 친구들이 정말 독창적인 생각을 해내는 것을 보고 깜짝 놀랐어요.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낀거죠”라고 토로했다.“하지만 내가 가진 약점보다 강점이 무얼까하고 생각했어요. 나는 창의력은 좀 부족해도 ... ...
기후 변화 기록한 화가
과학동아
l
200210
들고일어났습니다. 문헌적 증거가 없는 논의의 가치도 없는 주장이란 것이죠. 이 논쟁은
미국
의 유명 미술 월간지인 ‘아트 인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고 합니다.그런데 광학도구를 이용했다고 해서 거장들의 명성에 해가 가는 것일까요. ‘예술’(art)이라는 말은 기술을 ... ...
뇌세포 하나도 수를 셀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점을 볼 때 두개라는 사실을 인식하는데는 오직 하나의 신경세포만 필요하다는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의 얼 밀러 박사팀은 이같은 내용을 원숭이의 뇌세포 연구를 통해 밝혀 ‘사이언스’ 9월 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신경세포가 개별적으로 어떤 개념을 다룰 수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 ...
말미잘 닮은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0210
촉감을 갖는 로봇이 탄생했다는 소식이 영국 BBC방송 인터넷판 9월 2일자에 보도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이 로봇은 말미잘(sea anemone)의 이름을 딴 ‘퍼블릭 아네모네’로 명명됐으며, 바다처럼 꾸민 수족관 속에서 실제 말미잘처럼 빛과 접촉에 대해 반응을 보였다 ... ...
사정 현상 조절하는 신경세포 분리
과학동아
l
200210
할 때 남성이 정자를 내보내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신경세포가 발견됐다.
미국
신시내티대의 윌리엄 트루이트 박사팀은 쥐의 척수에서 사정을 조절하는 신경세포를 발견해 ‘사이언스’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트루이트 박사팀은 쥐의 척수 하단부에 자리잡고 있는 특정 신경세포를 주목했다. ... ...
지구대기 끝을 향해
과학동아
l
200210
이용하여 지상의 천문대에서 달에 레이저 광선을 보내고 그 반사파를 포착하여 측정한다
미국
의 맥도널드 천문대에서는 1968년부터 270cm 반사망원경을 레이저로 활용하여 거리 측정 관측을 하고 있다달 등의 전체가 수평선(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 천공(天空)에 있을 때보다 크게 보이는 현상 보통 ... ...
1. 자연이 온실가스 증가 막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210
8%를 삼림효과로 대체하게 됐다. 일본 중의원은 올 5월 의정서 비준안을 승인했다. 그러나
미국
은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준을 거부하고 있다.식물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엔 한계 있어그러나 이산화탄소가 늘어나면 식물이 흡수하는 능력도 커진다는 결과들은 단기적인 실험에 근거한 ... ...
인류 역사 재현하는 게임 창조주 김택진
과학동아
l
200210
설립1991년 현대전자 인터넷서비스 아미넷 개발팀장1997년 엔씨소프트 설립2001년
미국
경제주간지 ‘비즈니스위크’의 ‘아시아의 스타 50인’, 홍콩의 경제주간지 ‘파이스턴 이코노믹 리뷰’의 ‘변화를 주도한 인물 20인’에 ... ...
왜 통계물리학자가 단백질 연구에 매달릴까
과학동아
l
200210
있다. 상온에서 물이 액체인 까닭단백질 구조 규명에는 통계물리가 어떻게 이용될까.
미국
의 생화학자 크리스찬 안핀센은 1950년대 말부터 1960년대 말에 걸쳐 리보핵산가수분해효소(ribonuclease)라는 단백질의 실험을 통해 단백질의 3차원 구조가 아미노산의 서열만으로 결정된다는 점을 밝혔다. 그는 ... ...
이전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