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현재
개발
중인 핵무기 폐기에 합의하면 200만kW 전력을 제공하겠다는 ‘대북 중대제안’이 공개되면서 그 실현 가능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북한에 전기를 직접 공급하기 위해서는 기술적으로 꼭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 방식이 다른 남북간 전력시스템을 별 준비 없이 이었다가 자칫 남북한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보급 위해 한차례 우주 왕복.- 임무 전문가(5명)1. 노구치 소이치(40). 일본 우주항공연구
개발
기구 소속의 신참 우주비행사. 주로 우주유영을 담당.2. 스테펜 로빈슨(49). 30년 경력의 NASA 베테랑 엔지니어. 1995년 우주비행사가 된 이래 두차례 우주비행 경험. 우주선 엔지니어 및 우주유영.3. 웬디 로렌스(4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보면 이런 잠수함이 공상과학에서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을 예상할 수 있다. 앞으로
개발
될 로봇 물고기는 스스로 환경에 적응해 진화할 것이다. 물속 흐름의 변화에 따라 로봇 물고기의 거동과 추진방법이 달라지도록 설계될 것이며 이를 위해 지능적인 제어장치가 설치될 것이다.몇 십 년 ... ...
귀신 잡는 첨단 해병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폭발하는 20mm 공중작열탄과 5.56mm 소총이 결합된 한국형 차기 소총이 미래의 해병을 위해
개발
되고 있다. 한국형 차기 소총은 밤에도 식별이 가능한 열영상 장치, 거리 측정을 위한 라만 레이저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현재 시제품이 등장한 상태며 2006년에서 2008년 사이에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모두 ... ...
와이어드넥스트 2005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미래 기술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와이어드넥스트 2005’가 지난 6월24일~26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의 100여개 첨단 연구소와 기업이 참 ... 돼있다. 아직 생산 단계는 아니지만 입체를 감지하는 시각 기술과 정밀 작업이 가능한 로봇손이 새로
개발
됐다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물이 새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지금 해양연에서 6500m급 무인 심해잠수정을
개발
하고 있다는 점이 위안이다. 그는 “3면이 바다인 한국에 바다의 중요성은 두말 할 나위도 없다”고 강조했다.“해양연구는 과학 그 자체로도 중요하지만 한 국가의 자존심을 살리는 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 ...
모기 잡는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보베리아 바시아나라는 곰팡이의 살충 효과를 이용해 모기를 죽이는 유성 스프레이를
개발
했다.연구팀이 스프레이를 뿌린 표면에 모기를 풀어놓자 많은 모기가 죽었으며 살아남은 모기도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능력이 줄어들었다. 결과적으로 말라리아를 전염시키는 모기의 숫자가 80배나 줄었다 ... ...
신문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크기와 두께의 디스플레이에 통신 기능을 붙여 어디서든 최신 뉴스를 볼 수 있도록
개발
되고 있다. 일반 신문 종이와 달리 여러번 재생할 수 있고 한번에 많은 분량의 신문을 담아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개개인의 취향이나 기호에 따라 구미에 맞는 정보만 골라 전해주는 지능형신문도 한창 연구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6~7년 전부터 교사들과 ‘전남물리교사연구회’라는 스터디 그룹을 결성해 실험 장치를
개발
하고 수업에 적용하고 있다. 연구 결과는 외국 학술지에도 발표했다. 그동안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地圖)’ ‘물리교육학 연구’ ‘Progress in Education’ 등 책도 많이 펴냈다. 지난해 6월에는 10개 대학이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대해 연구한 것이죠. 교수님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중금속을 먹어치우는 식물을
개발
해 냈답니다.그런데 어떻게 식물이 환경에 해로운 중금속을 없애 주는 것일까요? 그 비밀은 바로 유전자예요. 식물의 여러 유전자 중 중금속을 흡수하는 데 관련된 유전자를 찾아 내 식물에 넣어 주면 중금속을 ... ...
이전
698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