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02. 알레르기 잡아먹는 기생충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것이다.미국 아이오와대 조웰 웨인스탁 박사는 더 ‘엽기적인’ 약을 기생충을 이용해
개발
하고 있다. 아이오와대 의대 연구진은 1997년 궤양성 대장염에 걸린 환자 7명에게 동물의 장에 사는 기생충의 알을 몰래 먹였다. 이들은 기존 치료법이 전혀 듣지 않았던 환자였다. 2주 뒤 기생충 알이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선보이기도 했다.연산 단위를 늘려 여러 개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방법도
개발
중이다. 동영상이나 게임 같은 멀티미디어 연산에서는 현재 32비트보다 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는 구조가 유리하다.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64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이런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전문 업체인 암막은 모핑으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사진을 빠르게 출력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 방문객 누구나 자신의 네안데르탈인 이미지를 가져갈 수 있게 하기 위해 박물관측이 배려한 것.한편 이번 복원 프르젝트에서 자문역은 보르도 고인류연구소 브루노 모레이 박사 연구팀이 맡았다. 모레이 ... ...
물리학이 밝힌 신경세포 경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되는 방법 중 하나다. 필자의 연구팀은 최근 물리학을 뇌지도 연구에 응용하는 방법을
개발
해 물리학계 권위지인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발표했다.물리학이 과연 뇌 연구에 어떤 도움을 줄까.초기의 뇌지도 연구는 주로 사고능력에 문제가 있는 환자의 뇌에서 손상된 부분에 해당하는 기능을 ... ...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인정받아 1987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그 후 1990년대 들어 많은 화학자들이 초분자를
개발
하는 연구에 뛰어들기 시작했다.최근 일본 도쿄대 다쿠조 아이다 교수팀은 직접 설계한 분자들이 저절로 모여서 매우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는 나노튜브 형태의 초분자가 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삼성전자를 비롯해 세계 반도체 기업들은 벌써부터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반도체
개발
에 뛰어들었다. 실리콘 트랜지스터를 대신할 무언가를 찾아내는 것이 이들의 공통 목표. 플래시메모리의 바통을 이어받을 차세대 반도체메모리는 지금 춘추전국시대를 맞고 있다.노어(NOR)와 낸드(NAND) |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수 있다.플래시 기술의 영역은 메모리 분야에 그치지 않는다. 미국 매크로미디어가 1997년
개발
한 동영상 제작 소프트웨어도 ‘플래시’라 불린다. 일반 동영상에 비해 파일 크기가 작고 속도가 빠르며 이미지가 깨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플래시는 애니메이션(엽기토끼, 졸라맨), 코믹송(올챙이와 ... ...
VHS vs 베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이 기술에 대한 라이센스 교부나 주문자 생산 방식 채택을 꺼렸다. 소니가 독자적으로
개발
한 베타맥스 기술을 적용한 녹화기는 반드시 ‘소니’라는 이름으로 생산돼야만 한다고 생각했다. 라이센스를 부여받은 회사에조차 소니의 기술을 개량할 수 있는 여지를 허용하지 않았다. 만일 개선이 ... ...
스스로 번식하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됐다.미국 코넬대 로드 립슨 교수는 “스스로 복제하는 3차원 블록으로 된 로봇을
개발
했다”고 ‘네이처’ 5월 11일자에 발표했다.이 로봇은 주사위처럼 한 변이 10cm인 정육면체 4개가 길게 연결돼 만들어졌다. 이 로봇은 반으로 분리될 수 있다. ‘어미’ 로봇이 몸을 구부려 반으로 나뉘면서 ... ...
구름 위에서 즐기는 웹서핑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회사 버라이즌은 기내에 비치된 전화기용 주파수를 이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
해 지난해 12월 미국 연방통신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이 기술은 여객기 한 대당 서비스 구축 비용이 CBB의 1/5에 불과해 좀더 싼 가격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내에서 휴대전화 통화도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