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밀한 설계 정교한 시공 거미줄의 미학
과학동아
l
199701
너무 사랑하는 한 남자가 이 비밀을 하나씩 풀어내고 있다. 덴마크 아로아대학 생물학과
교수
인 볼라스(Vollrath)박사가 만들어낸 사이버 거미(cyber spider)를 만나보자.정원이나 집안의 후미진 곳에 쳐 있는 거미집은 먹이를 찾기 위한 탐색 활동의 흔적이다. 대부분의 거미들은 매일 새로운 거미줄을 ... ...
한국에 온 제인 구돌
과학동아
l
199612
미소를 보여줬다.구돌박사를 영화를 통해 안 뒤로 만남을 오랫동안 기다렸다는 최재천
교수
는 약간 상기된 얼굴로 구돌박사와 인사를 했다. 아프리카에서 침팬지가 도구를 사용해 흰개미를 잡아먹는다는 것을 처음 관찰한 구돌박사와 중남아메리카에서 개미의 생태를 연구한 최박사는 같은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
과학동아
l
199612
등의 일부 무척추동물에도 있지만, 척추동물에서 특히 발달해 있다컴퓨터를 사용한
교수
법(教授法) 학습법인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에서는 학습자 즉 배우는 사람이 주체인 반면, CMI는 가르치는 사람이 컴퓨터와 대화하고 컴퓨터로부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시스팀이다미국의 벨(Bell ... ...
녹색테이블위에 울려퍼진 '월드컵 코리아'
과학동아
l
199612
자신의 것은 양 행세하면서 똑같은 대회를 개최한다는 것은 옳은 일이 아닙니다."현재 김
교수
는 이에 대해 아직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마련하고 있지 않은 상태. 향후 마이크로로봇 연구센터를 설립해 이곳을 마이크로로봇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의 메카로 만들고, 이를 토대로 국제 ... ...
5. UFO와 인간 어떤 관계일까
과학동아
l
199612
0cm-1백20cm의 작은 우주인이었다.외계인들은 왜 지구인들을 납치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맥
교수
는 외계인들이 종말 이후의 세계에서 살아남을 후손을 생산하기 위해 자기 인종과 지구인의 혼혈종을 교배한 것이라고 주장한다.외계인 피랍을 연구한 학자들은 사회문화적 대공황을 염려하고 있다.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두가지 목표를 가지고 설계된 프로그래밍 언어 1968년 스위스 쮜리히공과대학의 N워스
교수
가 개발했다 파스칼은 배열 레코드 파일 등 풍부한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있어 프로그래머 자신이 데이터형을 정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조건문 등 제어구조가 명쾌하여 SP(structural programming: 구조적 ... ...
유방 대칭이면 임신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612
생존에 장애가 된다. 이러한 모순을 재치있게 해결한 사람은 이스라엘의 아모츠 자하비
교수
이다. 1975년 자하비는 장애이론(handicap theory)을 제안했다.장애이론에 따르면, 숫공작의 꼬리가 수컷에게 장애가 되면 될수록 수컷이 암컷에게 보내는 신호는 그만큼 더 정직하다. 왜냐하면 긴 꼬리의 수컷이 ... ...
5. 한국유전공학의 메카 생명공학연구소
과학동아
l
199612
유성에서 택시를 타고 가장 늦게까지 불이 켜져 있는 연구소로 가자고 하면 우리 연구소에 데려다 줄것입니다”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생 ... 국제학술회의 개최 등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 그러나 정작 명박사는 "고등과학원
교수
로서 연구와 지도를 하는 것이 꿈이다"고 말한다 ... ...
오르가슴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11
기록했다. 그러나 그 여자는 아내가 아니었다. 결국 그는 이혼법정에서 망신을 당했으며
교수
직을 잃게 되었다.이와 같이 불가능해보이는 성반응 연구에 도전하여 완벽에 가까운 결과를 내놓은 인물은 미국의 윌리엄 마스터즈와 버지니아 존슨이다. 산부인과 의사인 마스터즈는 1954년부터 연구를 ... ...
포항공대 10돌 정상에 우뚝
과학동아
l
199611
대학가에 '경쟁' 이란 바람을 몰고온 포항공대가 10돌을 맞이한다. 아낌없는 투자, 우수한
교수
와 학생 유치, 그리고 쏟아지는 학사 1천2백53명, 석사 1천3백99명, 박사 1백64명을 배출했다. 최고 학번은 87. 아직 대학의 역사와 대학 출신들의 사회적 기여를 살펴보기에는 이르다. 그러나 현재 포항공대가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