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10
외국인 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형편.국제교류처장을 맞고 있는 서란(츄유안)
교수
는 “중국어나 영어가 가능한 외국인 학생들의 입학을 적극 허용하고 있다”면서 “한국인 유학생은 2백여명 정도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한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복단대의 유학생도 상해 교통대학의 한국 ... ...
2. 과학탐구토론대회 새로운 공룡멸종설
과학동아
l
199610
형성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발표자) 그것은 최근에 발표된 재진입이론(경희대 김상준
교수
제기)으로 설명할 수 있다. 충돌로 인한 파편은 반작용으로 다시 대류권 밖을 벗어났다가 떨어지게 됨으로써 연쇄충돌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재진입은 얼마 전에 있었던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목성 ... ...
손쉬운 개미 관찰법
과학동아
l
199610
분포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한 과(Family Formicidae, 개미과)에 속한다. 원광대학교 김병진
교수
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는 모두 1백3종의 개미들이 살고 있다. 조그마한 나라로선 적지 않은 숫자다. 영국 섬 전체나 그리 작지 않은 북극의 핀랜드가 고작 40여종 밖에 갖고 있지 않은 것에 비하면 두 ... ...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10
한다. 소수의 학생은 중도에서 탈락하는데, 학교에서는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 상담
교수
를 배치하고, ‘대학생을 위한 심리학’ 등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17년간 지속된 영재반을 통해 배출된 학생은 6백30여명(여학생 13%). 현재 졸업생의 70%이상이 외국 유학 중이다. 영재반 출신의 과학자들이 ... ...
중국에서 발견된 세계 8번째 시조새 화석
과학동아
l
199610
붙은 근육은 날개짓에 도움을 주었을 것이고, 꼬리뼈가 짧아 나는 일이 쉬웠을 것이다.후
교수
의 주장은 1996년 6월에 개최된 제4회 '국제 조류·진화회의' 서 호평을 받았다. 그는 앞으로 "중국뿐 아니라 세계의 화석을 보다 면밀히 관찰해 새의 진화계통을 확실히 밝히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
측우기 중국기원설 정면 반박
과학동아
l
199610
이 사실을 언제 어떻게 발견했나1986년경 어느날 서울대학교 대기과학과 김성삼
교수
가 찾아와 “중국인이 쓴 어떤 글을 보니 측우기가 중국에서 먼저 만들어졌다고 하는데 근거가 있느냐”고 물은 것이 관심을 가진 계기였다. 이후 중국을 여러번 방문하면서 중국과학사책을 수집하다 놀라운 ... ...
2. 전자기력이용 지구 중력 탈출한다
과학동아
l
199609
있는 두개의 띠가 생긴다. 이처럼 뫼비우스 띠는 신기한 성질을 갖고 있다. 세이케
교수
는 뫼비우스 띠 모양으로 전선을 감은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조합해 반중력 장치를 개발했다. 이 장치는 자신의 질량을 감소시켜 공중에 뜰 수 있다. 그러나 뫼비우스 띠의 원리가 어떤 힘을 발휘한 것인지는 ... ...
96일본 청소년과학제전
과학동아
l
199609
미래를 망치고 있다며 국회를 찾아갔다. 또 그동안 눈을 가리고 있던 각종 학회와 대학
교수
들도 정부에 탄원서를 올렸다. 결국 이것이 기폭제가 돼 청소년들이 재미를 붙일 수 있는 행사를 만들어내게 됐는데, 그것이 바로 청소년과학제전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과학시간은 아직 다시 늘어나지 ... ...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09
1950년대 초에 실험적으로 증명됐다. 시카고 대학 박사과정에 다니던 밀러는 유레이
교수
의 지도를 받으면서 원시 지구에서 있던 화학반응의 정체를 밝혔다. 밀러는 바닥에 놓인 플라스크에 인공적인 원시 바다를 만든 후 플라스크를 가열했다(그림 2). 이때 발생한 수증기는 메탄, 암모니아, 수소가 ...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
과학동아
l
199609
공부를 등한시 하는 사람을 일컫는 속어)을 연마하던 내가 시험문제의 정답여부를 놓고
교수
님과 왈가왈부를 하게 되었으니(그것도 영어로) 얼마나 큰 발전인가.지금까지 살아온 길 가운데서 가장 암흑기라고도 할 수 있는 KAIST 시절이 나한테는 굉장히 크나큰 발전의 발판이 된 것이다. 그러나 나 ... ...
이전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7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