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 행성 고리는 행성이 위성을 먹은 흔적이다행성 고리에 대한 관측과 연구는 계속됐다.
미국
콜로라도 사우스웨스트연구소(SWRI)의 로빈 카눕 박사는 토성 고리가 생겼을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추측해 ‘네이처’2010년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 토성의 위성이 토성에 흡수될 때 위성 표면을 싸고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가 평균 7.7mm랍니다.사실 저희 몸집은 작은 동전보다도 더 작습니다. 오른쪽 사진을 보면
미국
10센트 동전(dime) 위에 앉아 있는 제 모습이 보일 겁니다. 10센트 동전은 지름이 17.9mm나(!) 되죠. 앉아 있기에 넉넉하더군요. 참고로 10센트 동전은 새로 나온 10원짜리와 크기가 비슷합니다.저희 이전까지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이것이 인간의 기원이라는 주장은 ‘러브조이 학설’로 불리고 있습니다. 오웬 러브조이
미국
켄트대 사회학및인류학과 교수가 1981년 ‘사이언스’에 발표해 사회적 파장을 불러일으킨 학설입니다.인류학자들은 러브조이 학설이 맞는지 검증해 보고 싶어했습니다. 러브조이 학설이 맞다면 초기 ... ...
“실패는 신이 주신 선물”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말했지만 우리는 국산화가 최대 목표였어요. 자주 기술 개발이죠. 그런데 초기 로켓은
미국
에서 들여온 부품을 조립한 것이었기 때문에 큰 문제가 없었어요. 문제는 우리가 만들 때부터 시작됐어요. 실패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태평양 심해에 가라앉은 로켓 파편을 찾기도 했어요. 만약 파편을 찾지 ... ...
[교과연계수업] 오늘이 화이트데이?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커플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미팅 방식을 연구했다. 이를 ‘안정적인 결혼 문제’라 한다.
미국
의 수학자 데이비드 게일과 로이드 샤플리는 1962년 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제시했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1. 대상 : 연애와 관련된 재미있는 수학 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누구나. (연구 ... ...
[시사] 수학으로 드림하이~! 꽃미남밴드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펼쳐가고 있다고. 우리가 공부를 안 해서 그렇지 하면 또 잘 한다니까? 증거를 보여 줘?
미국
뉴욕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1년 동안 한 주에 한 번씩 피아노 수업을 받도록 했다. 그런 다음 수학 시험을 치르게 했더니, 피아노를 배운 학생의 절반은 고학년이 풀 수 있는 ... ...
중국의 생태사진가 '왕창 찍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도형을 한 번에 그려라!썰렁홈즈는 뭔가 떠올랐는지, 왕창 찍땅과 함께 급하게 1943년
미국
으로 떠났다.“악당 업새블라가 즉석 카메라를 발명한 에드윈 랜드를 찾아간 게 분명해.”편광 필터로 특허를 낸 에드윈 랜드는 딸과 함께 사진을 찍으면서 휴가를 즐기고 있었다.“아빠, 궁금한 게 있어요.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각하지 않았다.튜링 테스트도 완벽하지 않아튜링 테스트에 대한 반론도 나왔다. 1980년
미국
철학자 존 설은 당시 컴퓨터가 사람처럼 생각할 수 없으며 튜링 테스트로는 인공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해 ‘중국어 방’이라는 사고실험을 제시했다. 사고실험의 내용은 ... ...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큐브샛을 대중화하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모으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선 교수는 “
미국
은 이미 큐브샛 개발을 대학원이 아닌 대학 학부 과정에서 진행할 정도로 대중화됐으며 우리나라도 올해 안으로 경연대회가 진행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크기도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피와 땀, 오줌을 먹어가며 논문을 썼다.주로 적도지방에서 발생하던 황열병이 1804년 무렵
미국
남부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전염병처럼 확산된 탓에 사람들은 환자의 옷이나 이불, 환자가 쓰던 물건들이 병을 옮긴다고 믿었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달랐다. 간호사나 의사, 그리고 환자의 가족이 ... ...
이전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