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d라이브러리
"
채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대한민국 1호 큐브샛 ‘시네마’ 올해 일낸다
과학동아
l
201203
맨 꼭대기. 이곳에는 NASA가 직접 지어줬다는 우주과학실험실(Space Science Laboratory) 건물 두
채
가 서 있다. 올해 우주로 올라갈 한미 합작 초소형 위성(큐브샛) ‘시네마(CINEMA)’가 이곳에서 최종 테스트 중이었다. ‘시네마’는 경희대 월드클래스유니버시티(WCU) 달궤도 우주탐사사업단이 UC버클리와 3년 ... ...
Part3. 별 걸 다 맡아!
과학동아
l
201203
체취들을 분석해 사람마다 지닌 고유한 냄새를 분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지문이나 홍
채
보다 훨씬 정확한 신원확인 보안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다. 또 냄새의 성분을 더 구체화할 수 있다면 냄새만으로 어떤 병에 걸렸는지도 알아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 ...
짝짓기가 낳은 ‘아버지’
과학동아
l
201203
비슷한 시기에 모두 가임기를 맞이합니다. 수컷은 이 기간동안 다른 수컷의 접근을 막은
채
자신만 정자를 전달하면 짝짓기에 성공할 수 있습니다. 고릴라 수컷은 마치 골키퍼가 골문을 지키듯 가임기 암컷을 지키는전략을 세웠습니다. 짝짓기를 하지 않는 평소, 수컷들은 치열하게 다퉈서 서열을 ... ...
Morning Routines Are Creativity Killers
과학동아
l
201203
바꾸면 어떨까. 알람시계를 조금 일찍 맞춰놓고 알람이 울리면 바로 일어나지 않고 누운
채
생각이 흘러가는 대로 따라갈 것이다(옆에 종이와 펜을 두고 떠오르는 아이디어를 잊기 전에 써야 한다). 그리고 업무 생각은 접어두고 샤워를 하면서 따뜻한 물을 느긋하게 맞으며 서 있을 것이다. 사무실에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3
연습만 하면 발음은 향상된다. 선천적인 혀 운동능력이 발음에 미치는 영향은 5%가
채
되지 않는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양병곤 부산대 교수는 일부 아나운서나 앵커들이 발음 향상을 위해 연습한다는 ‘나무젓가락 물고 발음하기’가 실제 발음에 효과가 있는지 분석했다. 양 교수는 대학생들이 ... ...
창의적인 서울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203
한식집과 한복집, 전통공방을 더해 한옥마을이라는 별자리를 만들었다. 한옥 여러
채
와 이름 모를 돌담길이 역사적 의미를 갖는 공간으로 탈바꿈한 것이다.“도시는 안락하면서도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합니다. 단순히 종로구에 살고 있다는 것과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작가 이상이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03
우승한 켄 제닝스. 왓슨은 이 막강한 퀴즈의 대가들을 상대로 전혀 주눅이 들지 않은
채
대결을 펼쳤다. 최종 결과는 왓슨 7만 7147달러, 켄 제닝스 2만 4000달러, 브랫 러터 2만 1600달러였다. 왓슨의 압도적인 승리였다.이 대결이 눈길을 끈 건 왓슨이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왓슨의 정체는 IBM이 만든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03
3개에 검은 발톱이 달려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죠. 남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이 친구가
채
택된 건 실험에 유리한 특성 때문이지요. 키우기 쉬운데다가 알도 커 실험하기 좋지요. 또 올챙이도 투명해 혈관의 분포도 훤히 보인답니다. 그렇지만 단점도 있는데 염색체가 4배체라 복잡한데다 한 세대가 1~ ... ...
PART2. 게임, 현실을 침공하다
과학동아
l
201202
, 센서만 갖추면 준비 끝이다. 먼저 센서를 신발 깔창 밑에 넣고 아이폰을 팔에 붙인
채
달리기를 한다. 아이폰으로 나이키플러스 홈페이지에 로그인 하면 가상씨의 운동 기록이 자동으로 나타난다. 운동량과 기록에 따라 등급이 나뉘는데 가상씨는 아직 초록색 등급이다. 이 프로그램은 커뮤니티에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
과학동아
l
201202
심한 것으로 유명할 뿐더러, 1977년에 유행한 러시아독감 바이러스가 출처가 불분명한
채
로 홀연히 등장했기 때문이다. 중국과 러시아 정부는 이 의혹에 대해 공식적으로 부인한 상태다.변종 바이러스가 있는 두 연구자 실험실 보안수준은 최고등급에서 ‘반 계단’ 부족한 ‘생물안전도 3등급+’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