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기술
공학
d라이브러리
"
응용과학
"(으)로 총 2,135건 검색되었습니다.
누가 피터팬의 그림자를 가져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친구들과 서로 그림자 밟기 놀이를 해 본적이 있나요? 그림자를 밟히지 않기 위해 도망을 다니는 놀이 말이에요. 그림자는 우리 발에 딱 붙어서 절대로 떨어지지 않아요. 그래서 그림자 밟기 놀이를 할 때마다 그림자를 떼어 내 어딘가에 감출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곤 하지요. 그런데 정말로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패러다임이다. 다학제간 연구는 무엇보다도 탄탄한 기초 위에 세워질 수 있다. 서울대
응용과학
기술대학원의 윤의준 부원장은 “융합 연구가 자칫 기초 학문에 대한 전문성을 잃기 쉬운 점을 간과해서는 안된다”며 “학부 졸업에 그치지 않고 대학원 이상의 지속적인 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해야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8시간이나 걸린 비행 끝에 도착한 하이데바라드는 몬순 기간이라 날씨가 비교적 선선했다. 대회 첫날,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막식에 프라티바 파틸 인도 대통령이 전통의상인 사리에 터번을 두르고 등장했다. 이마에는 행운을 상장하는 빨간 점인 빈디를 찍은 모습이었다. 개막식에는 ICM 개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프로야구 이대호(롯데 자이언츠) 선수는 지난 8월 세계신기록인 9경기 연속 홈런을 쳤다.국가대표 에이스 류현진(한화 이글스) 투수는 29경기 연속 퀄리티스타트(선발투수가 6이닝 이상 던져 3자책점 이내로 막는 것)를 기록하며 이 부문 세계기록을 갱신했다. 이전 기록은 메이저리그 세인트루이스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 고분자나노재료학이란 무엇인가요?고분자(polymer)의 어원을 살펴보면 그리스어로 ‘많다’라는 의미의 ‘poly’와 ‘부분’이라는 뜻의 ‘meros'로부터 유래한다. 즉 ‘여러 가지 부분으로 이뤄진 화합물’이다. 간단한 구조의 원자 집단이 열이나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수 결합한, 분자량 1만 ... ...
중력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내게 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누군가가 이런 말을 했다면 아마도 얼토당토않은 말이라며 시답잖게 들을 것이다. 지구라는 행성에 딱 붙어 살아가는 우리는 매순간 중력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으니까. 그런데 이 말은 7월 중순 미국 ‘뉴욕타임스’지의 기사에서 저명한 물리학자인 네덜란드 암 ... ...
다리에서 에펠탑까지 , 도시가 변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찰칵~!’거리를 걷다 멋진 건물이나 다리를 보면 친구들은 어떻게 하나요? 휴대전화나 디지털카메라로 그 풍경을 찍을 거예요. 하지만 사진기가 없거나 드물던 시절에는 어땠을까요?대부분 화가들이 풍경화를 그렸을 거라고 생각하기 쉬워요.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불과 약 150년 전까지 ... ...
물과 공기로 열 내리는 그린 빌딩이 답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방안 슈퍼컴퓨터 전기세를 잡아라.미국 NCSA의 슈퍼컴퓨터 ‘블루 워터스’ 방문기미국 국가슈퍼컴퓨팅응용센터(NCSA)와 일리노이주립대는 새로운 슈퍼컴퓨터인 ‘블루 워터스’를 가동시키기에 앞서 이 컴퓨터의 보금자리를 세상에 공개했다. 이 건물은 ‘본격적으로 페타 스케일의 컴퓨팅 ... ...
그래핀, 신발 악취 없앤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꿈의 나노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이 악취를 없앤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나노과학분야 학술지 ‘ACS 나노’는 7월 중국과학원 상해응용물리 연구소의 천하이 판 교수의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그래핀은 평면에서 탄소원자가 육각형 형태로 무수히 연결된 벌집구조의 물질이다. 반도체에 사 ... ...
바이오 광학을 빛으로 엮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광공학응용물리학제의 책임교수로 있는 노도영 교수(가운데)가 연구원들과 함께 실험실에서 한껏 포즈를 취했다. 노 교수는 “광공학응용물리학제의 목표는 광과학의 원천기술을개발하면서 이를 나노과학과 정보통신 같은 여러 기술에 응용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우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