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어릴 때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배우는 거예요. 이런 연습 과정이 없으면 무는 힘을
조절
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서 나중에 피가 날 정도로 물게 돼요. 이때 개의 종류나 어렸을 때의 경험, 사람이나 동료 개들에게서 배운 것에 따라 공격성에 차이가 난답니다. 공격적인 행동은 불안하다는 개의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황색, 황갈색까지 다양한 붉은색을 연출합니다. 유전자는 이런 페오멜라닌의 강도를
조절
해 색상을 진하게 만들기도 하고 연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참고로 페오멜라닌 색소는 털 색깔에만 영향을 주지만, 유멜라닌 색소는 개의 눈과 코의 색깔에도 영향을 줍니다. 코에서 유멜라닌 색소가 생성되지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지는 오래 됐다. 암 발병이나 항암 면역치료제의 효과
조절
등 장내미생물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보이는 영역에서도 장내미생물이 상당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면서 주목받고 있다. 의사 출신인 김윤근 전(前)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는 인체의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소자)’의 일종이다. 멤리스터는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기능과 전류의 흐름을
조절
하는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모두 갖춘 소자다. 최근엔 멤리스터가 AI의 기능을 구현하기 유리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다시 각광받고 있다. 멤리스터의 동작이 마치 인간의 뉴런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뉴런은 ... ...
[Culture] 뜻밖의 히어로즈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원인으로도 작용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면역억제제의 또 다른 부작용은 감정
조절
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지속적으로 약을 복용하다 보면 쉽게 예민해지고, 짜증이 나며 화를 낸다거나 우울해지는 등의 감정 변화가 심해지기도 합니다. 또 면역을 억제시키다 보니 자연스레 면역력이 약해져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
하는 ‘광유전학’의 태동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광유전학을 이용한 연구는 현재진행형입니다. 지금도 많은 연구를 통해 빛으로
조절
이 가능한 다른 이온채널들의 개발이 이뤄지고 있고, 광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뇌 영역과 신경회로의 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이나 특정 행동의 원인을 밝히고, 나아가 빛을 ... ...
Part 4. 무너진 건물에서 사람을 구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비닐이 부풀어오르면서 마치 덩굴처럼 길이가 길어진답니다. 비닐이 부푸는 방향을
조절
하면 자라나는 방향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지요. 반면 뱀 로봇은 몸통이 여러 개의 관절로 되어 있고, 머리에 카메라가 달려 있어요. 관절 각각을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회전 시킬 수 있지요. 그래서 기어가는 ... ...
Part 3. 사람의 건강을 위협하는 빛 공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멜라놉신은 청색광에 예민하게 반응해서 밤낮의 변화를 인식하고 호르몬과 수면 리듬을
조절
해요. 그래서 청색광에 많이 노출될수록 우리 뇌는 밤을 낮으로 인식해 멜라토닌을 적게 분비하지요. 그 결과 밤에도 잠들기 어렵게 된답니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성장에 방해가 될 수도 있어요.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잠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잠을 잘 자지 못하면 우울해지거나 침울해지기도 해요. 왜냐하면 뇌가 행복을
조절
하는 신경 전달물질에 둔하게 반응하기 때문이에요. 잠을 오래 자는 것이 좋을까?잠은 오래 자는 것보다 얼마나 깊이 자는지가 더 중요 하다고 해요. 물론 사람마다 차이가 있어서 적절한 수면시간도 모두 달라요.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말했어요. 이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사람이 있고 없음에 따라 가로등의 밝기가 자동으로
조절
되는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어요. 가로등마다 카메라와 센서를 부착해 도로 이용자를 감지하는 거예요. 이를 이용하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 공해도 줄일 수 있답니다. 빛을 내는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