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해요. 이강운 박사님은 물장군이 황소개구리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외래종의 수를 조절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먹는 모습이 궁금해요!”실제로 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잡아먹는 모습을 함께 살펴보기로 했어요. 친구들은 ... ...
- Part 5. 돌돌 말아서 척! 종이로 사람의 몸속을 그려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리사 닐슨이 사용하는 퀼링 기법은 종이 조각의 크기, 마는 정도, 마는 방법을 마음대로 조절해 다양한 느낌을 줄 수 있어요. 또한 종이 사이사이의 간격이나 튜브 중앙의 구멍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지요.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피부의 말랑한 질감이나, 척추 사이에 있는 구멍, 근육 ...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할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어요.과학자들이 생각해 낸 골판의 다른 기능은 ‘체온 조절’이에요. 스테고사우루스는 파충류였기 때문에 스스로 열을 내거나 내릴 수 없었어요. 햇빛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을 빠르게 받아야 신진대사가이뤄지지요. 따라서 체온을 올려야 할 땐 골판을 잘 펼쳐서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태양을 돌면서 태양과 점점 가까워져요. 이때 속도를 천천히 줄이면서 궤도를 계속 조절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성을 이용해요.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줄이면서 태양에 더 가깝게 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거예요. 탐사선은 태양을 24번 도는 동안 금성을 7번 지나치는데, 금성을 지날 때마다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보이기도 한다. 뇌에서 세로토닌과 같은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지면 개들은 충동성 조절이 되지 않는다. 이런 개들은 수의사의 진단을 바탕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등과 같은 약물치료를 통해서 부족한 신경전달물질들을 높여줘야 한다. 약물로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절하는 기존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사위원인 송용설 아모그린텍 부사장은 “학부생들이 나노기술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며 “기존 연구를 발전시킨 내용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점수를 많이 줬다”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180개 이상의 센서를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빛이나 온도를 조절해요. 앞으로 우주에서 샐러드를 먹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죠?시원이는 얼른 하천을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손을 풀어 드렸어요.“어떻게 된 거예요?”“근처에서 오 박사를 기다리다가 바나나 ...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너지를 태우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SERCA2b’와 ‘리아노딘수용체-2(RyR2)’가 온도가 낮아지면 혈액에 있는 당을 사용해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세포에 칼슘이 너무 많으면 SERCA2b가, 반대로 적어지면 리아노딘수용체-2가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감량을 하려는 모든 이들에게 식단 조절은 매우 어려운 과제다. 그런데 적게 먹으면서도 쉽게배가 부를 수 있는 방법을 과학자들이 찾았다. 영국 워릭대 연구팀은 특정 아미노산이 포만감을 좌우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분자 대사학’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뇌척수액에서 당을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전에서 학부 4년을 마치고 1999년 필자가 입학한 대학원 실험실에는 한 가지 특별한 규칙이 있었다. 오전 9시 30분 출근, 이후 30분씩 늦을 때마다 1000원 ... UN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RNA 번역에 의한 유전자 발현, 분자시계 및 루게릭 병의 조절 원리를 연구하고 있다. clim@unist.ac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