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해요. 이강운 박사님은 물장군이 황소개구리도 잡아먹을 수 있기 때문에 외래종의 수를
조절
하는 새로운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씀해 주셨어요.“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먹는 모습이 궁금해요!”실제로 물장군이 황소개구리 올챙이를 잡아먹는 모습을 함께 살펴보기로 했어요. 친구들은 ... ...
Part 3. 마음대로 접히는 종이의 무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명칭에서 따왔답니다. 위기 상황에서 몸을 크게 부풀리는 복어처럼 자신의 몸 크기를
조절
할 수 있는 로봇이라는 의미지요.◀ 남극대륙 에러버스 산에서 시험 중인 PUFFER.현재 우주 탐사용으로 만들어지는 로봇들은 커다란 덩치 때문에 화성의 좁은 바위틈을 조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할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어요.과학자들이 생각해 낸 골판의 다른 기능은 ‘체온
조절
’이에요. 스테고사우루스는 파충류였기 때문에 스스로 열을 내거나 내릴 수 없었어요. 햇빛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열을 빠르게 받아야 신진대사가이뤄지지요. 따라서 체온을 올려야 할 땐 골판을 잘 펼쳐서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태양을 돌면서 태양과 점점 가까워져요. 이때 속도를 천천히 줄이면서 궤도를 계속
조절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금성을 이용해요.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줄이면서 태양에 더 가깝게 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거예요. 탐사선은 태양을 24번 도는 동안 금성을 7번 지나치는데, 금성을 지날 때마다 ... ...
[과학뉴스] 베이지색 지방이 칼로리 태우는 새 메커니즘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에너지를 태우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세포 안의 칼슘 농도를
조절
하는 단백질인 ‘SERCA2b’와 ‘리아노딘수용체-2(RyR2)’가 온도가 낮아지면 혈액에 있는 당을 사용해 열을 낸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세포에 칼슘이 너무 많으면 SERCA2b가, 반대로 적어지면 리아노딘수용체-2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180개 이상의 센서를 갖고 있어 식물이 필요할 때 자동으로 물을 주거나 빛이나 온도를
조절
해요. 앞으로 우주에서 샐러드를 먹을 날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죠?시원이는 얼른 하천을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손을 풀어 드렸어요.“어떻게 된 거예요?”“근처에서 오 박사를 기다리다가 바나나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보이기도 한다. 뇌에서 세로토닌과 같은 특정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해지면 개들은 충동성
조절
이 되지 않는다. 이런 개들은 수의사의 진단을 바탕으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등과 같은 약물치료를 통해서 부족한 신경전달물질들을 높여줘야 한다. 약물로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조절
하는 기존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사위원인 송용설 아모그린텍 부사장은 “학부생들이 나노기술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며 “기존 연구를 발전시킨 내용보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점수를 많이 줬다”고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USC) 연구팀은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해마 부위에 전기 자극을 가해 기억을
조절
하는 ‘해마 칩’을 개발하고 있다. 한편 뇌에서 신경 신호를 읽어 오거나 뇌에 자극을 가하기 위해서는 두개골을 절개해서 전극을 삽입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감염 위험이 큰 수술을 거치지 않고 뇌에 ... ...
Part 2. 변신 로봇 등장?!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여러 개의 나선으로 나눠 근사하는 방법을 쓴 거지요. 이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길이를
조절
하면서 구부러진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로봇의 팔에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해요. 연구를 이끈 크리스 유 연구원은 이메일 인터뷰에서 “이 알고리즘을 이용한 로봇팔은 이동할 때는 작게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