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류"(으)로 총 5,781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없었다. 메르스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이나 지속됐음에도 항바이러스제는 단 한 종류도 개발되지 못했다.문제는 코로나바이러스뿐만이 아니었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2013년 에볼라바이러스가 차례로 찾아왔다.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 ... ...
- 2012년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 ┃사스와는 다른 ‘중동의 사스’ 메르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1960년대 처음 발견됐다. 알파(229E, NL63)와 베타(OC43, HKU1, SARS-CoV, MERS-CoV)만 존재하며, 총 6종류였다. 그런데 최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발견되면서 한 종이 추가돼 7종으로 늘었다.이 중 229E, NL63, OC43, HKU1는 가벼운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사망률도 낮다. 반면 사스코로나바이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확률적으로 볼 때 특이한 현상은 아니라고 설명한다. 박쥐의 종류와 숫자가 놀랄 만큼 많기 때문이다.지금까지 발견된 박쥐는 1000여 종에 이른다. 이는 전체 포유류 종의 약 20%에 해당한다. 박쥐가 특별한 숙주라기보다는 전체 포유류 중 박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그만큼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는지는 몰랐다.오랜 연구 끝에 현대 면역학에서 흉선은 골수와 함께 가장 중요한 두 종류의 림프구가 주로 성장하고 저장된다는 의미에서 1차 림프 기관(lymphoid organ)으로 분류됐다. 이 둘을 제외하고 성숙한 림프구가 발견되는 모든 기관은 2차 림프 기관으로 불린다. 비장, 편도, 맹장, 림프절,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이브리도마는 두 종류의 항체를 만들었다. 한 종류는 양의 적혈구를 인식했고, 다른 한 종류는 미지의 특이성을 보였다. 후자는 골수종세포에서 유래한 항체였다. 이후 두 연구자는 항체 발현 능력을 상실한 골수종세포를 분리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그들은 이를 활용해 단 하나의 항원 결정 ... ...
- 생백신&사백신_인플루엔자 백신 Influenza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해온 만큼 오늘날 상용화된 백신은 대부분 세포전체 백신이다.세포전체 백신은 두 종류로 나뉜다. 바이러스가 활성화된 상태이지만 병원성은 약화시킨 생백신(약독화 백신)과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된 상태이거나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제거한 사백신(불활성화 백신)이 있다.면역학적 관점에서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데 70년이 걸렸던 것과 달리, 2009년 3월 미국에서 첫 환자가 보고되고 6개월만인 9월, 두 종류의 백신이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한국의 제약회사인 녹십자도 같은 해 10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신종플루 백신인 ‘그린플루-에스’에 대한 사용승인을 받았다. 기존의 인플루엔자 ... ...
- [이달의 과학사] 생명을 구하는 수혈법의 발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란트슈타이너가 ABO식 혈액형을 발견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어요. 그런데 혈액형의 종류가 밝혀진 뒤에도 수혈은 쉽지 않았어요. 몸에서 뺀 피는 금방 굳어버렸거든요. 그래서 초기에는 피를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혈관을 동시에 연결해 수혈해야 했어요.1914년, ‘구연산나트륨’이라는 ... ...
- 찾았다! 정십이면체 표면을 달리는 직선 경로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변하지 않는 직선이 되거든. 하지만 여전히 문제가 남아있었어. 하나의 전개도에 여러 종류의 직선을 그리다 보면 모서리 바깥으로 나가 방향을 바꿔 그려야 하는 경우가 생겼어. 사면체는 그나마 쉽지만 도형이 복잡해질수록 바깥으로 나간 선이 어디로 연결될지 상상하기 어려웠어! 아래 그림을 ... ...
- 오가노이드, 칩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둘러싼 모양을 모사하기 위해 폐포 세포와 혈관 세포가 붙어 자랄 수 있도록 했어요. 두 종류의 다른 세포 사이는 얇은 막을 설치해 서로 물질 교환을 할 수 있도록 만들었죠. Q하지만 칩이 생체처럼 반응한다고 할 수 있나요?요즘 코로나19가 유행이니, 폐렴을 예로 들어 볼게요. 당시 개발했던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