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만들어봅시다.인공지능은 뼛속까지 수학!“어라? 운전석에 사람이 없네.”무인자동차는 카메라와 각종 센서로 주위를 살피며 도로 위를 달립니다. 차에 달린 레이더 센서가 앞 차와의 거리가 얼마나 되는지 감지해 내장컴퓨터로 정보를 보냅니다. 그러면 현재 속도와 도로 상황을 고려해 속도를 ...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거든요.하지만 연구팀이 픽터스 캣피시를 초고속 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한 결과, 픽터스 캣피시는 헤엄을 칠 때 가슴지느러미로 강물 바닥을 부드럽게 쓸고 다닌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가슴지느러미가 느끼는 촉각을 이용해 강물 바닥의 모양을 파악하는 거예요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명, 그리고 기자 이렇게 여섯 명이서 요가 수업을 받았다. 양옆에는 못난 몸짓을 기록할 카메라 두 대가 서 있었다. 요가는 초등학교 때 배웠던 웅변 같았다. 초반에는 잔잔하게 시작해, 후반으로 갈수록 격해지더니 마지막에는 탈진상태로 끝났다. 서툴다보니 정확히 어디서 얼마만큼 동작을 해야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표적인 게 과연 ‘비정형 데이터’를 어떻게 학습시킬 것인가다. 알파고는 바둑판을 카메라로 찍어서 경기 진행 상황을 파악했다.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응용했다는 얘기다. 그런데 바둑판의 이미지는 정사각형의 격자를 토대로 흰색과 검은색이 번갈아 놓이는 ‘정형 데이터’다. 대국이 아무리 ... ...
- 생존전략 1. 화려한 꽃 미인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접근했다. 꽃봉오리가 점점 벌어져서 꽃잎이 활짝 펼쳐질 때까지 과정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해 관찰한 것이다. 연구팀은 꽃봉오리의 세로축(꽃대)을 y축, 꽃이 펼쳐지는 가로 방향을 x축으로 정했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꽃이 움직이는 모습, 즉 꽃잎이 오므리고 있는 각도와 위치 등을 변수로 하는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세고는 이마에 손을 가져다 대며 혼잣말을 중얼거렸다. 고기를 찾아낸 하이에나 떼처럼, 카메라 수십 대가 김 9단 앞으로 달려들었다. 플래시가 잔뜩 터졌고, 그는 자리에 주저앉았다. 대국을 중계하는 커다란 화면 한쪽의 디지털시계가 오후 4시 18분에서 19분으로 넘어가고 있었다. 그로부터 정확히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총 4억7300만 달러(우리나라 돈으로 약 5482억 원)를 지원했다. 미국 에너지부(DOE)에서는 카메라 설계와 조립에 드는 비용 1억6800만 달러를 댔다. 비정부 기금도 4000만 달러를 모았다.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전 임원이었던 찰스 시모니의 ‘찰스 앤 리사 시모니 재단’에서 2000만 달러, 빌 게이츠가 1000만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가능한 건 사진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인 픽셀을 변형시키기 때문입니다.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크게 확대하면 수없이 많은 사각형인 픽셀이 바둑판처럼 붙어 있어요. 소프트웨어는 시각적인 정보를 부호로 바꿔 픽셀 하나하나에 담아요. 그리고 벡터와 행렬을 이용해 이미지에서 ... ...
- [News & Issue] 불법 유출물의 장례를 치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유출 피해고객 12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 이성친구에 의해 유출된 사례가 44%, 몰래카메라 피해 사례가 23%, 해킹이 22% 등 97% 이상이 타인에 의한 유출이다. 심지어 자신의 성생활이 고스란히 담긴 USB를 잃어버려 피해를 본 사람도 있다. 이 여성은 한참 뒤 한 음란 사이트에서 자신의 영상을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08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각각 돼지사체 한 구씩을 수심 99m 지점에 묶어 놓고 원격조종카메라로 관측했다. 실험은 늦여름에서 초가을까지 진행됐고 용존산소와 온도, 염분, 밀도,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했다.이 실험의 결과는 2014년 10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 학술지(PLOS ONE)에 발표됐다(DOI:1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