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여행 비용 확 줄어드나...스페이스X, 로켓 재사용 발사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7.03.31
스페이스X가 한번 사용한 로켓을 재활용해 위성을 쏘아 올리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천문학
적이었던 발사 비용도 획기적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본격적인 민간 우주여행 시대의 서막이 열린 셈이다. 뉴욕타임스, BBC 등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30일(이하 현지 시간) 오후 6시 27분경 미국 ... ...
태양 기후 결정하는 ‘태양 행성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도는 3개의 인공위성의 관찰결과를 토대로 태양 행성파의 존재를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Nature Astronomy)’ 27일자에 발표했다. ‘로스비 파(Rossby wave)’라고도 불리는 행성파는 큰 길이와 폭을 가진 편서풍 파장을 의미한다. 약 상공 5㎞의 고도에서 부는 바람으로 거대한 공기의 흐름이 지구의 ... ...
거대질량블랙홀의 탄생 비밀...주변 은하 덕분에 덩치 키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4
어떻게 생길수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가설을 세워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계산한 결과를
천문학
분야 학술지 네이처 애스트로노미 최신호에 발표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거대질량블랙홀은 주변에 있는 다른 은하의 영향을 받아 거대한 질량을 모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과학자들은 ... ...
7개의 지구를 가진 새로운 태양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23
지동설(地動說)을 제창한 코페르니쿠스는 “지구는 특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후
천문학
자들은 그의 이름을 딴 ‘코페르니쿠스의 원리’에 입각해 우리 은하 안에는 태양 같은 별(항성)이 무수히 많고, 그 별 주위를 도는 행성도 무수히 많기 때문에 지구와 같은 외계 행성과 외계 생명체가 ... ...
네이처가 올해 저널 5개나 창간한답니다
과학동아
l
2017.02.10
천체물리 이론, 행성 연구 등
천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연구를 다뤄 각 분야
천문학
자들에게 소통의 장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네이처 생태학및진화의 관심사는 ‘생물다양성’이다. 이론과 현장 연구를 두루 다룰 예정이다. 네이처 의생명공학은 의학과 생물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 ...
물 위에 서 있는 남자?
팝뉴스
l
2017.01.31
팝뉴스 제공 최근 물리
천문학
닷컴(physics-astronom.com)이 페이스북에 소개한 후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반향을 일으킨 이미지이다. 물 위에 남자가 서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니면 엉성한 솜씨로 만들어낸 합성이미지 같기도 하다. 사진은 미국 미시건주 보인시티에 거주하는 앤디 포이노가 촬영해 ... ...
쓸쓸한 목성, 태양계에서 가장 큰 폭풍우
팝뉴스
l
2017.01.18
팝뉴스 제공 미국항공우주국 NASA의 주노 우주선이 공개한 데이터를 이용해 한 시민
천문학
자가 제작한 목성 사진이 14일 스페이스닷컴 등 과학매체에 소개되어 주목을 받았다. 가장 눈길을 끄는 부분은 ‘그레이트 레드 스팟(대적점)’이다. 적갈색의 타원형은 폭풍이다. 목성 남위 20도 부근에 ... ...
“스마트폰 하나면 나도 과학자”…시민 과학의 힘!
동아사이언스
l
2017.01.13
프로젝트가 활발하다. 집에 앉아 간단한 그림 맞추기를 하면서 중력파, 항성 탐색 같은
천문학
연구를 돕기도 하고, 게임으로 양자컴퓨터 개발이나 질병 연구 등에 참여하기도 한다. 최신 시민과학 프로젝트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주니버스(zooniverse.org)’ ‘시민과학센터(citizensciencecenter.com ... ...
핀란드의 초현실적인 풍경
팝뉴스
l
2017.01.13
물들어 있어 초현실적인 느낌은 더욱 강하다. 위 사진은 10일 미국항공우주국이 오늘의
천문학
사진으로 선정 소개한 것이다. 촬영 장소는 핀란드의 라플란드. 보초병들은 괴물이 아니라 눈을 맞은 나무들이다. 눈이 나무에 쌓이고 쌓여서 나무의 원래 형체를 알아볼 수 없게 된 것이다. 언뜻 보면 ... ...
2017년 새해 첫날, 당신에게 1초의 시간이 더 생긴다
과학동아
l
2016.12.31
입장은 없다. 아직까지 사회적으로 큰 피해나 혼란이 없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도
천문학
적인 관점에서는 윤초를 시행하는 게 옳다고 생각해 큰 이견은 없는 상황이다. 윤초 제도는 2023년까지는 유지될 예정이다. 2015년 11월 스위스에서 열린 세계전파통신회의(WRC)에서 각국 대표들이 윤초 제도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