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르웨이의 독수리 오로라 포착
2016.10.29
팝뉴스 제공 지난 23일 미국 항공우주국 오늘의
천문학
사진 사이트가 선정한 ‘오늘의 사진’이다. 눈부시다. 예술적이다. 자세히 보면 어둠을 뚫고 세차게 오르는 새 같다. 사진은 ‘독수리 오로라’라 불린다. 암흑 세상을 뒤흔들며 날개짓하는 독수리의 비상이 눈앞에 펼쳐져 있는 것 같다. ... ...
영화로 되살아 난 인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2016.10.28
발표한 논문 ‘고대 인도 수학의 특징’을 통해 “인도 수학은 종교철학과
천문학
그리고 언어학적인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인도의 수학책들은 경전이면서 문학작품이었다. 수학책인 ‘릴라바티’, ‘수트라’, ‘수리아 싯단타’ 등은 시(詩) 형태로 기록돼 있다. 인도의 ... ...
첫 우주 독립국가 ‘아스가르디아’ 생기나
2016.10.21
넘어야 할 난관이 많다. 국제법은 우주에 대한 특정 국가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 데다
천문학
적 규모의 자금도 문제다. 아슈르베일리 회장은 “미래 우주 탐사 시대에 맞는 새로운 법적 토대를 마련해 나가는 동시에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자금 마련 역시 시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내 우주 ... ...
제약기업이 살아남는 법… “오픈이노베이션으로 미래 대비해야”
2016.10.18
사노피 제공 신약 개발은
천문학
적인 비용이 든다. 성공하면 ‘대박’을 터뜨리지만 확률은 4% 정도로 매우 낮다. 최근엔 까다로워진 임상시험 기준 등으로 시장 선점이 점점 더 어려워지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방한한 다국적 제약회사 ‘사노피’의 필립 라슨 글로벌 연구개발(R&D) 당뇨병부문 ... ...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10.03
세 가지 조건은 그야말로 가장 단순한 필수조건일 뿐이다. 그 외에도 얼마나 다양한
천문학
적 조건이 맞아야 할지, 조건이 맞더라도 얼마나 큰 확률로 실제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 몇 ... ...
[연구자율성 높이자] 노벨상 수상자 104명 연구비 최초 분석
과학동아
l
2016.09.29
있지만 이들 모두 연구비를 지원해 주는 연구소 소속이었다. 그렇다고 이 연구소들이
천문학
적인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3명의 수상자를 배출한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는 정부로부터 연간 약 4000만 파운드(약 580억 원)를 지원받는다. ... ...
허블이 포착한 올챙이 은하
2016.08.13
같은 모양의 은하는 외부 은하에서는 종종 발견되지만 지역 은하에서는 희소하다. 해외
천문학
자들이 LEDA 36252를 “올챙이 은하”라 부르는 이유는 조금 큰 머리 부분과 길게 이어지는 몸통 및 꼬리가 보이기 때문이다. 신기하고 귀여운 이 은하는 비교적 가까운 곳에 있다. 지구로부터 8천만 광년 ... ...
“한국, 폭염으로 2030년대 GDP 10억 달러 손실”
2016.08.07
“우리가 온실가스 감축에 실패한다면 저소득 국가를 중심으로 폭염에 따른 경제손실이
천문학
적으로 커질 것”이라며 “기후변화가 일으킬 재앙으로부터 사람들을 구할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 ...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08.06
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
’ 분야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참가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KAIST 홍보대사인 ‘카이누리’ 학생들이 직접 전공을 소개한 이공계 진로탐험과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과 ... ...
아인슈타인, 앨런 튜링, 존 내쉬 같은 천재들은 왜 바둑에 열광했을까
2016.08.05
있는 ‘천원’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모두 360집이 되는데, 이는 1년이 약 360일이라는
천문학
적 사실에서 비롯한 것이죠. 흑과 백이 어우러지는 바둑은 음양오행 이론에 기반을 두고 우주를 형상화한 스포츠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신선놀음’ 또는 ‘선비놀음’이라고 불리우기도 하죠.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