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스페셜
"
위치
"(으)로 총 1,28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게시판] AI 출입국관리시스템 실증랩 개소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고도화를 위한 식별추적시스템 실증랩’을 개소했다. 서울 상암도 누리꿈스퀘어 14층에
위치
한 실증랩은 인공지능이 학습된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해 출입국자를 식별하고 범죄 및 위험행동을 사전에 감지·예방할 수 있는 차세대 출입국관리시스템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 ... ...
서울 을지로-청계천 제조업의 새로운 시도를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3
이뤄진다. 양윤선 레어로우 대표가 참여하는 8월 28일 마지막 행사는 을지로에
위치
한 철제 가구 기업 심플라인 매장에서 이뤄질 예정이다. 심플라인은 양 대표의 할아버지가 창업한 기업이다. 온라인 토크쇼의 자세한 내용과 온라인 중계 정보는 베타시티센터 포럼 웹사이트(forum.betacity.center)에서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발견이다. 연주시차는 지구의 공전 때문에 생기는 시차이다. 춘분과 추분 때 지구의
위치
는 태양에 대해 정반대이다. 그 때문에 멀리 있는 별을 볼 때에 시차가 생긴다. 이 차이를 연주시차라 한다. 만약 지구가 우주에 고정돼 있다면 연주시차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연주시차는 지구가 태양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크지 않지만 씨앗이 먹을 게 많은 에구시멜론이 나왔다. 흥미롭게도 이집트 남쪽에
위치
한 수단에 속이 하얀 야생 달콤한 수박이 자생하고 있고 논문에서도 두 계열의 게놈을 해독했다. 따라서 늦어도 4000년 전 수단이나 이집트 지역에서 이들 야생 수박을 대상으로 작물화가 시도됐을 것이다.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확장바리온음향진동분광학탐사(eBOSS) 팀은 빛의 속도로 110억 년 가야 하는 먼 거리에
위치
한 은하 200만 개를 관측했다. 바리온음향진동은 물질(바리온)과 빛이 아직 뒤섞여 있던 빅뱅 이후 38만 년 이전에 빛의 복사압으로 물질이 요동치며 형성된 강한 물질파의 흔적이다. 연구팀은 110억 년 전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신경전달이 일어난다. 시냅스는 신경회로가 정상 작동하기 위한 뇌의 최소 구조단위이며
위치
와 기능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지닌다. 전시냅스와 후시냅스에는 시냅스 접착 단백질이 각각 존재한다. 시냅스 접착 단백질들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시냅스를 생성하는데, 이 때 서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동물행동학자에서 과학행정가로 변신한 후베르트 마르클
2020.07.16
과학계를 빠르게 서독과 비슷한 수준으로 만드는 작업에 착수했고, 이를 위해 서독에
위치
한 연구회의 낡은 리더십을 개혁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겨우 6년의 재임기간 동안 전체 연구소장의 3분의 2를 새롭게 위촉했는데, 이 과정에서 연구회 내부로부터 엄청난 비판을 감내해야 했다. 하지만 그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마와 동이족 문명의 성쇠
2020.07.14
500년 주기 보이는 세 현상 샤오룽완 호수(빨간 십자 표시)와 신석기 시대 발굴 유물들의
위치
(작은 동그라미들)를 표시한 지도다. 동아시아 여름 몬순(장마)은 빨간 화살표, 겨울 몬순은 파란 화살표로 나타냈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제공 중국과학원 지질학· 지구물리학연구소의 연구자들은 8000~250 ... ...
코로나19 확산 막을 최전선은 '주거지와 도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교통을 통해 인구 이동과 교류를 촉진하는 도시보다는 직장과 주거지가 가까운 곳에
위치
해 어지간한 활동이 한 곳에서 이뤄지고 지역 내부에서는 자전거 등 개인교통수단 등을 이용해 이동하는 도시가 각광 받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정재승 KAIST 교수는 “유럽 도시들처럼 용도혼합제를 채택해 ... ...
[표지로 읽는 과학]박쥐는 머릿 속 이미지로 길을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2
포함된 상세한 지도를 만든 후 여기에 박쥐 172마리가 4년간 남긴 3449회 비행, 1800만 개
위치
정보를 표시했다. 박쥐들은 과일이 많이 열린 나무, 서식지 동굴 등을 비롯한 여러 랜드마크를 기억하고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변 나무를 무작위로 돌며 과일을 찾는 대신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고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