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융합하려는 대통일이론을 실험검증하자면 최소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외계 항성,
알
파-프록시마(α-Proxima)에 이르는, 약4광년 크기의 가속기가 필요하다. 물론 이런 괴물같은 가속기를 제작하려는 나라는 지구상 어디에도 존재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입자 우주론은 인플레이션을 통해 우주 자체를 ... ...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모델들은 동양의 종교나 철학의 유기적이며 통일적인 세계상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알
려주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현대의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환경오염에 의한 위기적 상황은 더욱 더 동양사상의 전체적인 통일적 세계관 내지 자체 조화하는 사상의 중요성을 절감하게 한다 ... ...
새끼 낳는 「태생」개구리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놀라운 것은
알
이 잡혀먹힐 위험을 아예 없애버린 '태생 개구리"까지 등장했다는 것이다.
알
이 암컷의 체내에 머무르는 포란기를 거친후 올챙이와 새끼 개구리를 어미가 품는 것이다. 암컷에게는 부담이 크지만 새끼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최고의 수단이다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이후 정상우주론의 급격한 쇠퇴과정에는 '플랑크 원리'가 아닌 '포퍼의 원리'가 적용됨을
알
수 있다. 헬륨의 존재와 퀘이사의 거리에 대한 논쟁뿐 아니라 우주배경복사의 발견이 정상우주론은 더 이상 탐구될 가치가 없다는 확신을 심어주게 되었던 것이다.1990년에 호일은 다시 한번 정상우주론을 ... ...
(1) 마이컴 100% 활용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그동안 등록된 프로그램의 기능과 장단점, 비슷한 프로그램과의 성능비교 등을 쉽게
알
수 있다.최근엔 소스프로그램을 제외한 컴파일된 오브젝트(object) 파일을 제공하는 공개소프트웨어가 부쩍 늘고 있는데 프로그래머 지방생에게 더없이 좋은 도구로 인기를 끌고 있다.예를 들어 한글라이브러리,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밤하늘의 별들은 영원한 것 같지만 그들 내부는 격렬한 변화를 겪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형태의 진화가 일어난다.1913년 헤르츠스프룽(Hertzsprung)과 러셀(Russell)은 별들의 표면온 ... 따라 여러 가지 종말을 맞게된다. 다음 호에서는 이러한 별들의 종말에 관하여 더욱 자세히
알
아 보자 ... ...
인공위성을 잡아라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분야. 그런데 방송·통신 위성 등 각종 상업위성이 위력을 보이면서 우주개발은 '황금
알
을 낳는 거위'가 돼버렸다. 미국과 옛소련은 물론 EC국가 일본 중국 태나다 이스라엘 등이 가세하면서 불꽃 튀는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제 뒤늦게나마 걸음마를 시작하려는 시점에서 우주개발의 첨병, ... ...
한국의 곤충⑪ 대벌레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졸참나무 등의 잎을 먹고 살며 불완전탈바꿈을 하는 사마귀나 메뚜기에 가까운 무리다.
알
은 식물의 씨앗 모양이며 6회에 걸쳐 탈피해 어른벌레가 되는데, 애벌레 시절 다리가 잘려나가도 재생(再生)하는 독특한 특성을 갖고 있다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예전에 그냥 지나쳤던 식물도 그 이름이 송이풀 동자꽃 홍싸리 노각나무 등인걸
알
고 나니 또다른 의미로 다가와 더 가까워지고픈 생각이 들었어요.최강문…저는 과학에 대한 문외한이지만 느낀 바가 많았습니다. 옆에서 보기에도 탐사단원들의 열의와 성의가 느껴져 참 좋은 교육현장이라는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바로 그리스 신화 속에서 헤스페리데스 낙원의 황금 사과를 지키던 거대한 화룡으로
알
려진 용자리다.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별이 엘타닌(Eltanin)으로 직녀별 바로 위에 보인다. 그러나 이 별은 그 밝기와는 어울리지 않게 감마(γ)별로 불린다. 엘타닌(Eltanin)이라는 말은 용의 머리를 ... ...
이전
711
712
713
714
715
716
717
718
719
다음
공지사항